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크게 북권과 남권으로 나뉩니다. 북권은 동작이 크며 발을 많이 사용합니다. 남권은 팔을 주로 쓰며 화려하기보단 순간적인 힘을 실은 간결한 동작이 많고, 움직이는 행동반경이 넓죠. 이보다도 무엇을 표현하느냐가 확연히 다른데요. 북권의 대표문파인 태극권은 우주, 자연을 표현하는 반면,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의 물질상태라고도 하죠. 이 상태가 되면 평소에 일어나지 않던 반응이 많이 일어납니다. 주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요한 반응들이죠. 그래서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나면 삼성전자나 LG디스플레이 같은 기업으로도 많이 진출합니다.전소리: 원자핵공학과에 들어오고 싶은 학생에게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복잡하다.요즘 간장 하면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볼 수 있다오로스는 거울 중에서도 원기둥 거울이 있어야 제대로 볼 수 있는 작품을 주로 만들어요. 그림을 그리기에 앞서 바탕이 되는 격자를 원기둥 거울을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이 되도록 길게 늘이지요. 그리고 그 격자 안에 그림을 그려요. 그러면 그림이 마치 부채꼴의 중심을 에워싼 것처럼 ... ...
- [News & Issue]동면하는 영장류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일자에 발표했다. 피그미늘보로리스는 몸 길이가 20cm, 몸무게가 400g인 야행성 원숭이로,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 서식한다.연구팀은 피그미늘보로리스 5마리의 체온을 가을, 겨울, 봄 세 계절 동안 측정했다. 그 결과 12월부터 2월까지 최대 63시간 동안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아냈다. 통상 24시간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전화기 VS 스마트 웨어러블1988년에는 집집마다 한 대씩 있던 유선전화기를 주로 사용했어. 친구 전화를 기다리느라전화기 옆에 딱 붙어 있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다이얼 전화기1988년에는 대부분 유선 전화기를 사용했어요. 전화기에서 보낸 음성 신호가 통신선을 따라 ...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말한다. 하드웨어 산업의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미비해서 주로 외국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가져와서 사용한다.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줄넘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자체개발해 획기적인 운동기구를 만든 벤처기업이 있다. ‘탱그램팩토리’다. 지난 9월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모습은 오케스트라의 연주처럼 우아합니다. 사회자 면역을 연구하는 인간들도 주로 후천성 기억 면역에 관심이 많다고 합니다. 이변이 없다면 올해 입시도 B 세포와 T 세포 강세가 계속되겠네요. 이만하면 충분한 것 같은데, 커피나 한잔….(이때 청중 속의 한 세포가 튀어나온다)‘헨젤과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두루마리 눈 쌍둥이들의 정체는 뭘까요?두루마리 눈은 20cm~1m 크기로 돌돌 말린 형태예요. 주로 가운데가 비어 있거나 돌돌 말린 모양이라 도넛이나 롤케이크가 떠오르지요. 그래서 ‘스노우 롤러’, ‘스노우 도넛’ 등으로 불린답니다.두루마리 눈은 눈, 바람, 기온 세 가지 기상 조건이 모두 맞을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때문이다. 해마는 기본방향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