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상대방이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연구팀이 고려하고 있는 방안은 이렇다. 잠수함
표면
전체를 수많은 워터제트로 이뤄진 껍데기로 감싼다. 추진기가 뿜어내는 워터제트가 잠수함이 지나갈 때 만드는 물결을 없애 준다. 잠수함이 지나갈 때 앞쪽에서 만나는 물결은 가속시키고 지나간 후에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른 물질로 메우는 공사를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웨이퍼를 만들 때 실리콘 기판
표면
과 그 아래에 있는 실리콘 사이에 절연체를 집어넣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제조비용이 10% 올라간다는 단점이 있다.두 번째로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이 너무 느려지는 문제가 생겼다. 채널이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상이 다이아몬드로 구성된 행성은 열 전도도가 매우 높은 다이아몬드의 특성상 행성
표면
이 열을 가두지 못한다. 만일 이런 행성이 존재한다 해도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차갑고 어두운 곳일 것이다.”최고의 광채 ‘브릴리언트 컷’도 결국 탄소 덩어리 다이아몬드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은 4C ... ...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될 만큼 대기의 산소 농도가 풍부해진다. 원생대 후기의 에디아카라 시기에는 몸
표면
이 연약한 다세포 생물이 많이 살았다. 다가올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생물다양성의 대폭발을 예고한 것이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높은 전압을 걸면 물이 전기분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1990년 높은 전압으로도
표면
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프랑스 브루노 버지(Bruno Berge) 박사에 의해 발견됐다. 그는 금속판을 얇은 절연체로 씌운 뒤 그 위에 물을 한 방울 떨어뜨렸다. 다음에 금속판과 물방울에 전기를 걸자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책에 흘린 침에 비친 글자가 커보이는 현상 → 이슬방울에 비치는 형상의 확대 현상 →
표면
장력과 일렉트로웨팅 현상에 대한 연구 →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원리 → 생활 속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최신 활용 연구로 이어지는 기사 흐름이 자연스러워 읽는 사람의 관심을 끝까지 붙잡고 있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변에서 DNA앱타머가 표적단백질과 결합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
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연구자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 ...
건축도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래서 정상파가 생기지 않도록 양쪽 벽면을 평행하지 않게 한다. 벽과 천장의 불규칙한
표면
은 정상파가 생길 가능성을 줄이고 음파를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켜서 콘서트홀 내부 전체의 음의 세기를 고르게 해서 음의 사각지대, 초점현상, 메아리 등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청중이 있을 때에는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돌리면 얘기가 달라진다. 최신 물리학 이론인 홀로그래피 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의
표면
에는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정보가 가장 압축된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물리학자들은 반지름이 0.5m인, 눈사람 몸통만 한 구를 블랙홀로 만들면 그 경계면(사상의 지평선)에는 1057바이트의 정보가 저장된다고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20e’와 ‘케플러-20f'를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중심별과 거리가 너무 가까워
표면
온도가 1000℃에 육박한다.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희박하다.플랑크는 지금까지 언급한 우주망원경과 다른 파장을 관측한다. 바로 마이크로파다.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