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keyword 1 드론 이란에 뺏긴 미국 무인정찰기지난해 12월 8일 이란이 미국의 최신형 무인정찰기를 공개했다. 무인정찰기 이름은 ‘드론’. 이란은 드론 ... 케플러-22b에 반드시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목성이나 해왕성처럼 행성
표면
이 기체로 이뤄져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프린터 헤드는 설계도에 따라 빛(자외선)으로 원하는 모양을 그린다. 빛을 받으면 액체
표면
이 굳어 레이어가 된다.첫 번째 레이어는 액체 속에 살짝 잠기고 그 위로 다시 프린터 헤드가 지나가면서 두 번째 레이어를 만든다.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마다 지지대를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표면
바로 아래층에 황색계열의 곰팡이가 보이죠? 이게 좁쌀곰팡이예요. 메주 바깥쪽과
표면
바로 안쪽은 물기가 적당히 있어서 곰팡이가 잘 자라요. 메주의 가장 깊숙한 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아서 곰팡이가 자라질 못합니다. 공기가 없이도 자랄 수 있는 세균이 자랍니다. 강원도메주는 쪼갰을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지 않는 한 화성의 물을 이용해야만 했다. 화성의 대기에는 수증기가 거의 없고,
표면
에도 액체 상태의 물은 없다. 그래서 물 탐사팀은 화성 지하에 있는 얼음을 캐 기지로 가져온다. 이 물을 녹여서 정수한 뒤 작물 재배나 먹는 물, 각종 생활 용수에 쓰는 것이다.그렇다면 식량은 어떻게 만들까.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빨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김봉수 KAIST 화학과 교수를 만났다.김 교수팀은 ‘
표면
증강 라만 산란’이라는 현상을 이용했다. 라만 신호는 빛이 물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빛 에너지가 달라지면서 나오는 신호다. 하지만 신호가 너무 약해 측정이 어렵다.
표면
증강 라만 산란 현상은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딱딱하게 익지 않고 빵 같은 식감이 나요. 또 높은 온도로 굽기 때문에 갓 구웠을 때는
표면
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과자처럼 바삭하답니다. 반면, 식은 붕어빵이 눅눅한 이유는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이에요.꺄~! 드디어 맞혔다! 집에서 요리를 도맡아 한 보람이 있는걸? 쟈니 아저씨!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트기도 하지. 볼이 빨갛게 변하는 이유는 온도가 갑자기 변하거나 감정적인 이유로 피부
표면
에 있는 모세혈관이 넓어지기 때문이래. 얼굴이나 입술이 트는 것은 공기가 너무 건조하기 때문이라는군. 콜록콜록, 독감과는 다른 감기!보통 독감을 독한 감기라고 생각하지만 독감과 감기는 다르대.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많지요? 하지만 귀지는 파는 것보다 그냥 두는 것이 좋아요. 귀지가 쌓이는 귀의 외이도
표면
은 우리 몸에서 가장 피부 조직이 얇은 곳이에요. 이 곳을 잘못 파다가는 상처가 날 수 있답니다. 또 면봉으로 귀지를 파다가 잘못하면 면봉에 붙은 솜이 귓속에 끼어버리기도 해요. 우리 몸의 때나 귀지는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4개월 동안 하기도 했어요. 또 반짝이는 국새를 만들기 위해 간단하게 산을 이용해
표면
을 녹일 수도 있지만 일일이 손으로 광을 내는 작업을 했답니다.국새는 그냥 도장이 아니라 나라를 상징해요. 그렇기 때문에 첨단과학만을 이용해 쉽게 만들기 보다는 예술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국새를 만들기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이번엔 우리 팀에서 특별한 공까지 준비했지. 바로 습기를 머금은 야구공이야. 야구공
표면
은 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습기를 머금으면 손에 더 잘 잡혀서 변화구를 던지기에 유리하거든. 게다가 타자들이 공을 쳤을 때 습기를 머금지 않은 공에 비해 덜 날아가는 특징이 있지. 하하~. 오늘의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