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좋아하는 생물을 채집하기 위해서라면 깜깜한 바닷
속
에 들어가는 것이 무서워도 그
속
으로 들어가요. 그리고 새로운 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생물자원을 찾아가는 원동력이 된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에필로그 │ “당신이 계
속
정신을 놓고 깜박 깜박 잊는 것은 뇌를 함부로 꺼냈기 때문이에요.”꿀록 탐정은 남자를 앞에 앉히고는 다소 엄격한 목소리로 말했어요.“당신의 뇌는 금이지만 그 금만 보고 다가오는 사람은 결코 좋은 사람이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정보로 에너지를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이 개발됐다.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용수철 끝에 ... 빠르고 많은 위치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입자의 질량을 계산해 적용한 결과, 입자가 초
속
190μm로 움직였다 ... ...
[한페이지 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아프리카 땅의 나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취급을 받는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영국 글래스고대 국제 공동연구팀은 다이아몬드
속
에 포함된 유체(작은 액체 주머니 형태)를 분석해 다이아몬드 형성 시기와 함께 수십억 년에 걸친 암석권의 화학 조성 변화를 밝혔다. 연구팀은 남아프리카 광산에서 채굴한 다이아몬드 10개에서 방사성 원소인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깜빡거렸다. 고고도 기구에 매달려 올라간 로켓이 발사를 무사히 마치고 지구 탈출
속
도에 이르렀다는 의미였다.“우리가 만든 모뉴먼트가 올라갔어!” 소요는 그 자리에서 방방 뛰어오르며 소리쳤다. “보름 뒤엔 달 궤도에 들어설 거고 몇 년 뒤면 달의 적도 어딘가에 추락할 거야. 그럼 적어도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주제로 계
속
언급됩니다. 그렇지 않은 문제들은 굳이 비난하지 않더라도 사람들의 관심
속
에서 멀어지면서 그대로 도태됩니다. 때문에 어떤 문제가 좋은가에 대한 기준을 굳이 정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분명한 건 많은 사람에게 흥미를 끌지 못하는 문제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직접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점점 자라는 사슴의 뿔, 조금씩 부푸는 복어의 배, 계
속
자라는 아빠의 콧수염이 표현돼있죠. 이런 것은 일상생활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친숙한 소재를 이용해 함 작가님은 수학의 ‘무한’ 개념을 표현했습니다. 이 외에도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뒤로 나자빠졌습니다. 딱지가 얼른 뛰어가 삐뚤란을 밧줄로 꽁꽁 묶었습니다. 그리고 품
속
을 뒤져보니 말캉 다이아몬드가 나왔습니다. “찾았다!”딱지가 보석을 높이 치켜들자 모여든 사람들이 모두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곧이어 경찰대장과 프로보가 도착했습니다. “역시 우주순찰대! 범인을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관측기(ASIM)를 설치했어요. 그리고 2019년 2월 나우루 섬 주변 남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폭풍
속
에서 우연히 블루제트를 관측한 거예요. 대기물리학자인 솔스텐 뉴버트는 “16km 높이의 구름 꼭대기에서 1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 분의 1초) 동안 밝게 빛나는 푸른빛의 섬광*을 관측했다”며, “이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칼슘맛, 탄산맛 등 새로운 맛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지요. 우리가 맛을 느끼는 것은 혀
속
의 아주 작은 기관인 미뢰 덕분이에요. 미뢰는 혀나 입천장, 인두(목구멍 부근), 후두(공기가 드나드는 통로)에 약 1만 개가 넓게 퍼져 있어요. 맛을 인지하는 미각 세포 여러 개가 모여 미뢰를 이루는데, 그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