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들어 우리는 해가 오래전부터 동쪽에서 떴기 때문에 이 사실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계속 ‘해는 동쪽에서 뜰 것이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연역적 추론 방법은 먼저 가설을 세우고 여러 전제를 거쳐 일반적인 명제를 이끌어내는 추론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모든 동물은 죽는데, 인간도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살던 사람들에 대한 최신 고유전체 분석 결과는 놀랍게도 이들이 동아시아인 계통에 속해 있었으며, 톈위안 계통이 바초 키로 계통과 구석기 유럽인 계통의 혼합임을 나타냈다. 바초 키로 집단을 포함한 초기 동아시아인 계통 사이 관계의 재분석이 기대된다.집단 혹은 민족의 기원과 뿌리에 대한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이제는 구름도 DIY! 헬륨 비누 거품 구름 생성 장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분리돼 하늘로 떠오릅니다.비누 거품이 하늘 위로 끝없이 올라갈 수 있는 비결은 거품 속 헬륨에 있습니다. 헬륨은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원소입니다. 0℃, 1기압에서 헬륨의 밀도는 0.18g/L로 건조 공기의 밀도인 1.29g/L보다 작습니다. 같은 부피라면 헬륨이 훨씬 가볍죠. 헬륨은 다른 원소와 반응하지 ... ...
- [핫이슈] 큐리오 매쓰매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모르는 사이에 ‘수학’을 익히게 돼요. 먼저 신나는 리듬과 함께 배우게 될 내용을 머릿속에 담고, 동물 친구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수학 개념을 이해해요. 그다음 간단한 게임 두 가지를 통해 개념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해요. 수와 연산부터 규칙 찾기, 비교하기까지 즐겁게 수학을 익혀봐요. 더 공 ... ...
- [이달의 과학사] 1910년 3월 5일 즉석 라면의 발명가 안도 모모후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파는 튀김을 보고 즉석 라면의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밀가루 반죽을 튀기면 밀가루 속의 수분이 빠져나가요. 그렇다면 밀가루 국수를 튀긴 다음 말리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 않을까요? 그는 밀가루로 만든 면을 뜨거운 증기로 익힌 다음 기름에 튀기고 건조해 보관하기 편하게 ...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현재 존재하는 여러 종의 개미들과 비교해 봤지요. 그 결과 지옥개미는 뿔 표면이 금속 성분으로 이뤄져 단단하고, 개미 중에서도 가장 초기 조상격 종이라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바딘 교수는 “현재 마다가스카르 지역에 서식하는 드라큘라 개미의 사냥 모습이 이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지옥개미의 ... ...
- [질문하면 답해줌!] 왜 혀를 닦으면 헛구역질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4~5번 정도 반복해요. 잠든 뒤 첫 번째와 두 번째 주기의 렘 수면에서 성장호르몬이 빠른 속도로 분비돼요. 이 성장호르몬을 통해 몸이 피로를 풀고 성장할 수 있어요. 게다가 작년 2월 중국 상하이대학교 지안 펭 연구팀은 9~11세 어린이 1만 1067명을 조사한 결과 아동의 수면 시간이 짧을수록 인지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박테로이데스속(Bacteroides) 미생물 비율이 훨씬 적었습니다. 그리고 박테로이데스속 미생물 비율이 낮을수록 중성지방 수치와 심혈관 질환 예측인자인 고감도 C-반응단백질(hs-crp) 수치가 높았습니다. doi: 10.1371/journal.pone.0134333 이는 장내 미생물이 현재 비만일 확률, 앞으로 비만이 될 가능성 ...
- 확률형 아이템, 게임계 황금알 낳는 거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분류하고, 각 분류마다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접속 유지 시간이나 결제 금액에 따라 유저를 분류하고, 집단마다 각각 시간당 유료 상점에 몇 번 들르는지, 다른 유저와 대화하는 데 몇 분을 할애하는지, 또 성장하는 데는 몇 분을 쓰는지 등을 정리하는 것이다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꾸준히 증가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었다. 21세기 우리가 이제 주목해야 할 것은 호모 속이 보여주는 두뇌 용량의 증가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다. 우리에게 앞으로 필요한 것은 새로운 발견보다도, 새로운 발견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그림을 바라보는 프레임의 전환일지도 모른다. ※이상희미국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