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흐르고 이 화려한 왕뱀에게 독이 없다는 사실이 천적들에게 발각되면 어떻게 될까. 그
순간
, 산호뱀을 모방하는 이들의 행위예술은 끝이 날지도 모른다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번쩍 타올랐다. 레이저가 지나간 자리에 남아 있던 그을음에서 바로 이 물질이 발견됐다.
순간
적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받아 만들어진 기체 상태의 탄소 원자가 공기 중에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면서 생겨난 것이다. 구조가 공을 닮았다!새 물질은 탄소 원자 60개로 이뤄져 있었다. 세 사람은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오른쪽이 나란히 있는 것처럼 모두 존재108하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나’는 그 중 한
순간
만을 인지하게 된다.이와 대비되는 관점이 ‘현재주의’다. 과거는 지나가 버린 것일 뿐 아니라 기억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고 미래는 그 기억들로부터 만들어진 귀납적 추론에 따른 기대에 지나지 않는다고 ... ...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난코스 절벽을 통과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중 잘못된 문이 하나 있어요. 그걸 선택하는
순간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맙니다. 자, 과연 어떤 문을 피해 문을 열어야 할까요? 메뚝!”미션4 썰렁홈즈가 가야할 곳은 어디?“대체 곤충 탐험은 언제 하는 거죠? 전 곤충을 관찰하고 싶어서 모처럼 숲에 온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해 ‘뫼즈 강의 도마뱀’이란 이름을 붙여줬다. 모사사우루스란 학명이 태어나는
순간
이었다. 최초로 발견된 이후 58년 만의 일이었다.머리보다 더 큰 먹이도 한입에 꿀꺽!모사사우루스는 길쭉한 주둥이와 고깔 모양의 이빨을 가졌다. 때문에 외형이 악어 같기도 하다. 또 지느러미로 변한 네 다리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힘을 지닌 커다란 자석이에요. 이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
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계산해서 뇌의 속을 보여 주는 영상을 만드는 거예요.성능이 좋은 MRI가 개발되면서 뇌 연구도 활발해졌어요.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숲에서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아이들이 마음을 열고 받아들여지는 것이 느껴지는
순간
이 있어요. 그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답니다.3 곤충호텔에 관심 있는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곤충들이 살기 좋은 곳은 촉촉하고 따뜻한 곳이에요. 곤충이 살기 좋은 곳은 사람도 살기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다. 처음 보는 명왕성의 상세한 모습이 눈앞에 드러나는
순간
이었다. 인간의 우주 탐사가 점점 더 먼 곳까지 미치고 있다. 이제는 수많은 외계행성이 발견되면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광활한 우주에서는 작은 점에 불과한 지구 밖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상만 기록한 게 아니었다. 한 저서에는 스승인 연암 박지원과 처음 ‘집밥’을 먹었던
순간
을 감동적으로 적어놨다. 그는 연암이 숯불 위에 손수 하얀 자기를 올려 밥을 지었다고 기록했다(부인에게 부탁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 밥을 함께 먹고 대화를 나누며 지음(知音) 즉 자신을 알아주는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반응에서, A와 B가 언제 어떻게 생기는지 정확히 알면 정책을 효율적으로 짤 수 있다. 그
순간
을 위해, 지금도 수백 명의 대기과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