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힘을 지닌 커다란 자석이에요. 이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
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계산해서 뇌의 속을 보여 주는 영상을 만드는 거예요.성능이 좋은 MRI가 개발되면서 뇌 연구도 활발해졌어요.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일 것이다.서호주 필바라에서 시작한 우주 여행의 마지막
순간
에 우리가 만난 것은 138억 년 우주의 역사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그리고 그 풍경 속에 어우러져 있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 ...
메르스 공포가 이웃을 향할 때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절대 안 된다. 이것은 매우 위험하다. 역사적으로 비인간화가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
순간
은 인종청소라고 불리는 잔혹한 학살의 현장이었다. 다른 이의 목숨을 가볍게 여기고 잔혹하게 살해하는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으로 이 논리가 쓰였다. ‘그 사람은 병균, 벌레, 오물 같은 더러운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매미 성충으로 활동을 시작한다는 사실도 알았죠.Q 지사탐 활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
은 언제였나요?경기도 화성 장지리에서 열린 청개구리 현장교육 때, 늪 같은 논두렁에 퐁당 빠져 버렸어요. 엄마가 낑낑 꺼내 주셨죠. 군포에서 열린 현장교육에서는 비가 많이 내려서 신발과 옷이 다 흠뻑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광섬유 ㆍ스마트폰 여기 혹시 인터넷 안 써보신 분 있으신가요? 이곳은 인터넷을 통한 광통신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광통신은 오늘날 모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 ...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 ...
당(糖, sugar)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과 비슷하다.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맛을 선택한다는 점이다. 짧은
순간
이지만 단맛이 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켜 위안을 주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단맛에 중독됐다는 건 어쩌면 작은 위안에 의지해야할 정도로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다는 뜻일지 모른다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80%에 달한다. ‘텔레마케터가 사라지는 건 정말 시간 문제겠구나’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 기자의 표정을 읽은 듯 그가 덧붙였다. “아직은 갈 길이 멀어요. 시골에 사는 80대 노인이 전화해서 ‘내가 한 달 전에 냉장고 사부렀는디~, 얼음이 안 얼어부러~’라고 말하면 인식률이 확 떨어집니다.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시각은 오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감각이다. 또 시각은 렌즈나 거울, 프리즘 같은 도구를 써서 왜곡시킬수 있고 신기루나 무지개처럼 자연적인 왜곡 현상도 존재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눈 ...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 ...
[과학뉴스] 빛 느끼려면 광자 몇 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눈은 망막의 원추세포에 광자가 부딪히는
순간
빛을 인식한다. 그렇다면 빛을 볼 수 있으려면 최소 몇 개의 광자가 필요할까.정답은 2개다. 미국 일리노이대 물리학자 레베카 홀메스 박사는 양자광학에서 사용하는 광자 발생기를 이용해 이 같은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피부 흡수에 기여하는 바는 매우 적다고 밝혔다.쉽게 망가지는 단백질, 화장품에 넣는
순간
분해모공을 통해서 EGF나 FGF가 통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의문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단백질은 100개 가까이 되는 아미노산들이 상호작용으로 연결된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 구조가 조금이라도 바뀌면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