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10
-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앞둔 로제타호를 혜성 표면에 약 2.7km까지 접근시켜 촬영한 결과 필레를 찾아낼 수 있었다. 바위 그림자 끝부분에서 조금이라도 태양빛을 쬐기 위해 몸부림치다 멈춘 것처럼 보였다. 67P 혜성이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로제타호는 9월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10
-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➏~➓ 지방 수용체내장에는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먹으면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10
- 커다란 물체를 작게 압축하거나, 반대로 납작한 것을 크게 부풀릴 수 있다. 또는 표면적을 넓혀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물질이나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나 반도체 소자, 태양전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겉으로 드러난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
- 행성의 표면 온도가 너무 높아져 물이 수증기가 된다. 반대로 항성에서 너무 멀면 표면 온도가 낮아져 물이 얼음으로 존재한다. 즉, 행성과 항성 사이의 거리가 적당해야 한다. 이를 골디락스 범위라고 한다(골디락스는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한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10
- 등장하기 직전에 나올 듯한 음향효과를 낸다. 가느다란 쇠막대살에 송진을 발라 표면을 매끄럽게 한 다음, 바이올린처럼 활로 켜거나 두드리면 소리가 난다. 쇠막대살의 진동이 물이 가득 차 있는 기둥에 전해지면서 공명을 일으켜 크게 울린다. 쇠막대살을 활짝 펼치느냐, 안쪽으로 모으느냐에 따라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10
- 산화 그래핀에 탄소나노튜브와 나노입자, 고분자를 적층했을 때 두께가 수십 nm 이하의 표면에서 전극이 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김 교수는 “적층형 나노전극 연구는 전세계에서도 거의 없을 정도로 독창적”이라고 밝혔다. 고분자팀은 최근 생체 내에서 쓸 수 있는 고분자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태평양판과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끊임없이 이동하며 부딪히고 있는 곳이다.]지구의 표면은 마치 퍼즐 조각처럼 나뉘어 있어요. 맨틀 위쪽부터 지각까지 이어진 이 조각을 ‘판’이라고 해요. 10개의 큰 판과 작은 판들을 합쳐 약 20개의 판이 있답니다.판들은 한자리에 가만히 머물러 있지 않아요.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10
- 결과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목성 표면에 있는 대적반이 주변 난류와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
- 매끈하게 다듬지 않고 자연 상태의 모양 그대로를 쓰고, 기둥의 아랫부분을 주춧돌의 표면에 꼭 맞게 깎아내서 밀착시킨다. 대웅전 남회랑 아래, 즉 백운교 좌우 석축과 석가탑의 암좌에도 이런 그렝이법이 적용돼 있다. 또 석재를 쌓을 때도 이음새에 부재로 작은 돌들을 채워(뒷채움돌) 이것들의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독특한 주름 무늬게다가 홍채는 고유한 주름무늬를 가지고 있다(54쪽 그림). 홍채의 표면을 보면 동공과 홍채가 만나는 경계(소홍채륜)에 주름이 진다. 주변에 고리띠라고 부르는 고리모양의 융기가 있다. 꼬불꼬불하고 홍채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다. 또 홍채가 끝나고 모양체와 만나는 경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