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06
원기둥에 부어보세요. 모래를 붓기 전에 모래의 부피가 원뿔의 부피에 딱 맞도록
표면
을 평평하게 고르는 건 필수! 몇 번을 부어야 원기둥을 가득 채울 수 있을까요? 같은 방법으로 구를 모래로 가득 채우려면 원뿔에 모래를 몇 번 채워야 할까요? 사진처럼 우드락으로 만든 삼각형을 준비합니다.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06
물질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
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케미스트리’ 5월 2일자에 실렸다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
뎅기열은 이 부분이 양의 전하를,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음의 전하를 띤다. 지카는
표면
이 조금 더 복잡한 구조로 양전하와 음전하가 섞여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런 전기적 분포 때문에 NS1에 작용하는 백신이나 약물이 지카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추측했다.X선 결정법은 널리 쓰이는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06
기술은 언제나 한결같은 성능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자가 얼굴의
표면
근전도 신호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팀 개발)를 타려고 했을 때, 초기 설정을 하는 데에만 수십 분이 걸렸다.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른 생체신호에 대한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막아 주는 역할을 해요. 연구팀은 현미경을 이용해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패럴린C의
표면
이 매끄럽다는 것을 관찰했고, 이를 이용해 두께가 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인 태양전지를 만들었답니다. 실제로 실험해 본 결과, 이 태양전지는 유리로 만든 기존의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수학동아
l
201606
호가 찍은 명왕성의 사진. 뉴호라이즌 호는 명왕성을 스쳐지나가며 정확한 크기와
표면
, 대기의 상태를 조사했다. 이라고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 예상했다. 해왕성이 태양을 도는 궤도가 계산한 것과 미세하게 달라, 그보다 더 바깥에 또 다른 행성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06
그가 답했다. 현재 시판 중인 최첨단 전자 의수는 주로 팔뚝의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표면
근전도를 측정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동작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촉감도 느낄 수 없다. 반면 삽입형 신경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신경 신호를 직접 받으면 훨씬 다양한 동작의 의도를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06
정확하게 해독할 수 없는 정보를 담고 있었다. 은성의 아름다움은 그 알 수 없는 정보의
표면
을 이루고 있었다. 그 밑을 조금만 더 파고 들 수 있으면 이 갑갑함이 풀릴 텐데. 윤정이 은성에게 품고 있는 감정은 그 정보의 결과물일 뿐이었다.윤정은 은성에게 저녁을 먹고 가지 않겠냐고 물었다.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산수유와 구분하기 힘들다면 나뭇가지나 기둥의
표면
을 보면 돼요. 나무 기둥의
표면
은 껍질이 벗겨지지 않고 엄청 매끈하거든요. 잎의 모양도 다른데, 전체적으로 둥글면서 모서리가 말려 있거나 3갈래로 나눠진 부분이 있어요. 잎맥은 가지 쪽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기공이 있다면 운석이 아닌 것이죠. 선물 받은 것이기 때문에 잘라볼 수는 없어서 돌의
표면
을 현미경으로 자세하게 관찰했답니다. 그 결과 기공이 없기 때문에 운석일 가능성이 커졌어요.다음 단계로 돌의 성분을 분석해 봤어요. 돌에 X선을 쬐어서 성분을 분석하는 기계를 이용했답니다. 철질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