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밥"(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놓고 주무신다. 전기에너지 소비에 대한 나의 상념이 이어지고 있을 때 엄마가 말했다. “밥 다 먹고 반찬 갖다주러 누나 집에 가자.”2017년 누나가 결혼하고 2년간 엄마는 신혼집에 총 4번 밖에 가지 않았다. 그런데 조카가 태어나면서 일주일에 서너 번은 누나 집에 간다. 손주 사랑이 이렇게 무섭다 ...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박 단장은 “화구가 많지 않았던 만큼 한 번에 여러 요리를 하는 게 효율적”이라며 “밥 위에 음식을 올려 동시에 익히는 찜 요리가 많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날 것 즐겨 먹었던 조선시대 “매우 맛있다. 준비된 모든 음식은 외국인들이 먹기에 적절하다(Very good one. All prepared well enough to suit ... ...
- [일본유학일기] 미타카 프리즌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주변에 밥 먹을 식당도 마땅히 없으니 쓸쓸한 자취생들을 좁은 기숙사 방으로 불러 밥을 해 먹는 재미도 있었다. 문득 그때 만났던 친구 중에 생활력이 강한 중국인 유학생 친구가 한 명 떠오른다. 어느 날 그 친구는 양배추 한 개를 사 오더니 그것만으로 일주일 내내 삶고 볶고 지져 먹으며 끼니를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죽을 때까지 별 이상이 없으면 인간도 이 밥을 먹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이 밥이 인간의 병을 치료할 수도 있다던데요. 아, 옆집 개는 이 비싼 특식을 못 먹었대요. 쯧쯧. 개가 10년쯤 사니까 저희보다 수명이 긴데, 오히려 이게 인간 과학자에게는 별로인가 봐요. 굳이 왜 우리한테 이런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황금쌀은 1세대보다 약 23배 많은, 쌀 1g당 36.7μ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했다. 이 정도면 밥 한두 공기도 하루 권장섭취량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 doi: 10.1038/nbt1082 먹을 수 있는 면화, 카로티노이드 풍부한 고구마황금쌀이 특정 성분을 생산하도록 유전자를 변형했다면, 생산성을 높이거나 외부 요인에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때, 또 호흡하고 감각을 느낄 때 등 거의 모든 행동에 영향을 주지요. 예를 들어 여러분이 밥을 먹으면 소화기관을 거쳐 혈관으로 흡수되는 당의 양이 많아져요. 그러면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이자에서 당을 낮추기 위해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지요. 분비된 인슐린은 혈액으로 들어가 당 함량을 ... ...
- [실전!반려동물] 우리집 막내가 새끼를 낳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손가락에 이유식을 묻혀 냄새를 먼저 맡게 한 후, 관심을 보이면 손가락을 조금씩 움직여 밥그릇까지 이동시키면 된답니다. 새끼들은 생후 3주부터 주변의 물건을 삼키는 구강행동을 해요. 특히 래브라도 리트리버나 저먼 셰퍼드와 같은 대형견에게서 이런 행동이 더 자주 나타나지요. 이때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은? 까치밥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보면 구분할 수 있어요. 개앵도나무가 잎 뒷면 맥 위에만 잔털이 있는 것과 달리, 까치밥나무는 잎 뒷면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답니다.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어 앵무새 ‘앵두’를 키우는 친구의 사연을 하나 더 들어 볼게요. “지금은 앵두가 밥 잘 먹고, 똥 잘 싸고, 저희와 잘 어울려 놀긴 하는데…. 새들은 아픈 걸 잘 숨긴다고 들었어요. 혹여나 제가 눈치채지 못하고 넘어간 것들이 있진 않을까요?” 손질을 할 땐 조심조심!반려새는 야생의 새보다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업적 역시 1960년대에 진행했던 우주배경복사에 관한 이론 연구다. 1960년대 초 당시 밥 디키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교수는 빅뱅에서 출발한 우주의 진화를 검증하려면 흑체복사의 스펙트럼을 지닌 우주배경복사가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는지 관측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당시 박사과정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