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집"(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표본을 만들었어요. 사슴벌레 표본을 만든 청개골 팀의 신지민 (서울 광남초 4) 대원은 “채집하거나 관찰만 하던 곤충을 새로이 다루는 방법을 익혀 좋았다”며, “표본을 만들면서 곤충을 더욱 아끼고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다양한 시설이 갖춰질 수 있지요. 또 건물은 태양 전지판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고 빗물을 채집해 물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해요.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건물이 실제로 지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의문을 품었어요. 이 건물을 짓기 위해선 매우 가벼우면서도 높은 기압과 뜨거운 온도를 견딜 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향했어요. 목적은 민물고기 탐사! 1시간 동안 무려 26종의 민물고기를 220마리 넘게 채집했어요. 이 가운데는 고유종인 참종개, 새코미꾸리, 줄납자루 등이 포함돼 있었어요. 몸이 투명한 줄새우와 초록색을 띤 새뱅이 등 민물에서 사는 새우들도 볼 수 있었답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다양한 종들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연구소인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는 자연사한 곤충을 채집해 표본을 만든다.울퉁불퉁한 산길을 따라 강원도 횡성에 있는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에 도착했어요.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는 지난 1997년, 멸종위기에 처한 곤충 보존을 위해 만들어졌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이강운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모기라고 판별되면 채집기는 자동으로 문을 닫아 모기를 잡아요. 이때 모기를 채집한 시간과 온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면, 모기가 좋아하는 환경 등에 대해 알 수 있어요.이후에는 모기의 피 속 유전자를 분석하는 일이 이뤄져요. 이를 통해 모기의 종류와 모기가 피를 빤 동물, 잠복 병원균 등의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싶은 곤충이 보이면 관찰하기 위해 집으로 가지고 와요. 곤충의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채집통을 꾸며 주고, 돋보기로 관찰하며 연구 보고서를 작성해요.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도 관찰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참! 관찰한 곤충은 다시 꼭 자연으로 돌려보내 줘요.디엘 대원의 꿈은 무엇이에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비롯해 총 200명의 일반인이 참여했어요. 참가자들은 8개의 조로 나뉘어 전문가와 함께 채집하고 분류하는 활동을 진행했지요.생물에 따라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낮뿐만 아니라 밤과 새벽까지 탐사가 진행됐어요.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물까치, 황소개구리, 목이,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뒤 땅 위에 안착하면, 그 곳에서 새로운 군체가 번식한다. 그런데 소위 ‘싹쓸이’식 채집으로 한 군체, 즉 여왕개미 한 마리가 사라지면 향후 100군체가 사라지는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곳에서 볼 수있는 개미 종류나 개체 수가 확실히 다르다”고 말했다. 집으로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멸종될 수 있다. 그래서 이미 1970년대부터 사향노루와 사향고향이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들은 화학적으로 분자를 합성해 인공 향을 만들어 향수에 넣는다. 천연 향료에 들어 있는 냄새 분자를 모두 찾아내 100% 동일하게 합성하는 일은 ... ...
- [과학뉴스]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소넨부르크 교수는 “하드자 부족의 장내미생물 연구를 통해 농업을 시작하기 전 수렵채집을 했던 초기 인류의 식습관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n483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