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집"(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할 내년 활동을 무척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그러면서도 탐사를 할 때 민물고기를 채집하지 않고, 민물고기가 다치지 않게 해달라고 당부했어요.어때요? 이정도면 지구사랑탐사대 지원군이라 할 만하죠?내년에는 또 어떤 재밌는 탐사가 펼쳐질까요? 새롭게 펼쳐질 지구사랑탐사대 5기 활동이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동식물이 많지요. 아마엘 볼체 연구원은 자주 밖에 나가 동물을 관찰하고 개구리를 채집했다고 해요. 이런 경험 덕에 양서류를 연구하게 된 걸까요?“전 모든 동물을 사랑해요. 사실 양서류 연구를 시작할 때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 건 아니에요.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연구 주제로 개구리나 하마 중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또, 바닥에 털썩 앉아 흡충관 고무 호스를 입에 물고 작은 곤충들이 상하지 않게 채집하는 모습도 멋졌고요. (고민규, 서울 오산중 1)Q 참! 바이오블리츠에서 터진 특종이 뭔가요?바이오블리츠가 시작되고 24시간이 지나면,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함께 발견한 생물종 수를 발표해요. 그런데 정말 깜짝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귀화식물을 스마트폰 현미경과 루페로 관찰한 뒤, 표본 부스로 가져갔어. 그곳에서 채집한 식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표본용 특수 종이에 붙여 표본으로 만들었지.‘꿈꾸는 지구’ 팀의 김신혜 대원은 “미션을 통해 귀화식물에 대해 배워 재미있었다”며, “현장교육 덕분에 잘못 알고 있던 식물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4월, 야생진드기를 채집한 결과 725마리가 채집되어 지난해 4월에 채집한 411마리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어요.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과 용태순 교수는 “털진드기는 가을에 유충이 많아지므로 가을에는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했어요.연세대학교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성무성 학생의 담수어 부스도 인기였어요.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에 사는 담수어를 채집하고 관찰해온 기록과 그동안 수집한 물고기 표본들을 전시해 많은 관심을 받았답니다. 성무성 학생은 “물고기와 주변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며 존중받아야 할 존재라는 걸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어요.한편,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최근에는 72~83℃까지 상승했다. 온천수에서 공기방울(기포) 형태로 나오는 화산 가스를 채집해, 포함된 헬륨의 동위원소 비를 분석한 결과, 이 헬륨이 맨틀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결과도 보고됐다. 이는 지하 마그마 방으로부터 지표로 지열이 계속해 전달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화산 분화의 ... ...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엣수구 교수는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 학명(Gastrodia kuroshimensis)을 붙이고 표본을 채집해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 종이 다른 천마와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하지 않고 숙주 균류로부터 영양분을 얻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꽃이 피지 않고 자가수분을 하는 완전한 폐화식물이라는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샘플 파티에 모인 연구자들은 구글 지도에 암석을 채집한 위치와 분석한 암석 정보를 등록하는 등 구체적인 방법을 논의했다. 백두산, 아는 만큼 보인다지질탐사는 종종 막노동에 비유된다. 현장에 직접 가야만 하고, 온몸으로 힘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득해요.국립수목원에서는 광릉숲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버섯을 채집하고 분류해서 이들을 보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또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종이나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신종에게 이름을 붙여 주기도 한답니다.혹시 난생처음 보는 버섯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