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집"(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불가사리를 잡아먹고 사는 생물이에요. 하지만 바다 생태계가 오염되고 사람들이 함부로 채집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들기 시작했어요. 결국 나팔고둥은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었답니다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수 있는 7종류의 그물이 있어요. 그물을 줄에 길게 매달아 1000m 깊이에 있는 플랑크톤도 채집할 수 있지요. *CTD라는 심해 조사 장비를 이용하면 2000m 깊이에 있는 물을 직접 뜰 수도 있고, 필터를 이용해 플랑크톤만 남도록 거를 수도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렇게 모은 플랑크톤의 종류를 분류하고, 또 몇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배달하지요. 또한 다른 벌레와 모기를 구분하는 장치도 달려 있어서 모기만 골라서 채집할 수도 있답니다. 이 트랩을 실은 드론이 널리 쓰이면 모기로 인해 생기는 전염병이 줄어들겠죠?지난 6월 15일 인천에 있는 을왕리 해수욕장에 해상 구조 드론이 등장했어요. 이 드론에는 카메라가 달려 있어서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노래할 거예요. 그래야 지면에 붙어사는 동물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어린이들에게 채집당하지 않겠죠.게다가 말매미의 위치는 음향학적으로도 탁월한 선택이에요. 나무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소리가 나뭇가지나 나뭇잎에 흩어지지 않고 멀리까지 전파될 수 있거든요.매미의 노래하는 위치가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핑커 교수의 저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 따르면, 농경 이전의 생활 양식인 수렵, 채집을 하던 시대의 사망자 가운데 폭력에 의해 죽임을 당한 비율은 60%에 달했다. 이 수치는 20세기 유럽으로 오면 1% 수준으로 낮아진다. 핑커 교수는 국가와 정부 등 합법적 폭력(처벌)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직접 가기 위한 사전 탐사였다.이때만 해도 하루빨리 화성으로 직접 날아가 화성 토양을 채집해서 분석하고 싶었다.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내주는 분석 데이터가 있었지만 감질맛만 났다. 드디어 화성에 오는 소원을 이뤘지만 불의의 사고로 8000만km 떨어진 붉은 행성에 혼자 남겨졌다. 구조대가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명에게서 샘플을 모았다. 특히 두 명은 이틀 동안 하루에 12시간씩 매 시간 단위로 샘플을 채집했다. 동시에 그들이 머문 자리에 있는 미생물 샘플도 수집했다. 전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같은 장소에 있었던 사람끼리 공유하는 미생물을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과연 언제쯤 ‘미생물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눌러 두면 식물이 곱게 말라요. 다 마른 식물을 단단한 종이에 잘 펴서 붙인 뒤, 학명과 채집자의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사진도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갈로아’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김도윤 형은 우리나라 최초로 신종 갈로아벌레를 채집해 연구한 학생이예요. 정민규, 송민규, 성민규, 김재동, 이준호 이 분들도 취재해보세요. 저랑 비슷한 또래인데 전문가 수준이에요.” 건혁 학생은 어릴 때부터 파브르 곤충기를 많이 읽었다고 했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