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자발적으로 지역의 논이나 호수 등을 찾아 다니며 수원청개구리의 모습과 노랫소리를
채집
하고 정보를 공유한다. 장 교수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전국의 수원청개구리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생태를 연구한다. 지난해 8월에는 이를 바탕으로 쓴 논문을 생태학 국제학술지 ‘생태정보학’에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장이 컸기 때문이에요.숲에 살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주로 과일이나 채소 등을
채집
해서 먹었어요. 그래서 거칠고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를 갈거나, 딱딱한 음식을 으깨는 데 적합하도록 치아가 크고 넓적했죠. 마찬가지로 거친 날음식을 소화시키기 위해 소장과 대장이 매우 길었답니다. 그 결과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어미 여왕벌 무리를 보호해 줄 집도, 저장해 놓은 식량도 없어요. 일벌들이 먹이를
채집
해 오지도 않지요. 따라서 어미 여왕벌 무리는 이사할 새 집을 3일 안에 구해야 해요. 꿀벌에게 새로운 집 찾기는 무리 전체의 운명이 달려 있기 때문에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결정해야 하는 문제랍니다.꿀벌은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설치해 식물의 분포를 조사하기도 하고, 엽록소의 개수를 측정하기도 했다. 지의류도
채집
했다. 지의류는 미세조류와 균류가 공생하는 독특한 생명체인데, 북극이나 남극같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몇 안되는 생물 중 하나다. 자라는 속도는 매우 느리고 공해에도 취약하지만, 생명 진화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소개하고 싶습니다.연구를 하시면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미국 플로리다 주에 곤충
채집
을 갔다가 밤이 늦어서 국립공원에서 텐트를 치고 잔 적이 있어요. 그런데 새벽에 누가 자꾸 텐트 밖에서 내 등을 밀더라고요. 잠결에 “누구야~!” 하고 나갔더니 거대한 악어가 텐트를 밀고 있었어요. 순간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신 박사는 딱정벌레 6종을
채집
했다. 이런 식으로 2~3일에 한 번씩 야외실험실을 찾아
채집
하고 있다. 올해 시작한 딱정벌레 연구는 내후년까지 이어진다. 딱정벌레는 파리보다 연구가 좀 더 어렵다. 온도뿐 아니라 먹이조건이 달라도 성장속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먹이도 일정하게 맞춰주면서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습 교육 기간이라고 한다.이 기간 동안 경험 많은 부족 선배는 젊은 부족원에게 수렵
채집
기술을 열심히 전수한다. 선배의 순수한 호의에 의한 것만은 아니다. 전통적인 인간사회는 남녀 간의 성적 분업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른 분업도 복잡하게 이뤄져 있다. 가능한 효과적으로 다음 세대에 ... ...
[Photo] 수집가의 로망 ‘잉카의 장미’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점점 귀한 몸이 되고 있다. 사진 속 능망간석은 미국 콜로라도주 스위트홈 광산에서
채집
한 것이다. 참고로 ‘능’이라는 말은 마름모로 둘러싸인 육면체인 능면체에서 따왔다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있기 때문에 연구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용 교수는 실제로 탄자니아 야생동물에서
채집
한 참진드기에서 열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인 리케차와 이형열원충 등의 존재를 확인했다.신은주 서울여대 연구교수(항생제내성균주은행장)는 야생동물에서 발견한 세균을 자세히 분석 중이다. 현재 사람이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갔을지 여러 가설을 세운 사람이다. 그가 세운 가설은 다음 다섯가지다.1. 플라스틱이
채집
그물을 통과할 정도로 아주 작게 쪼개졌다2. 해안으로 떠밀려왔다3. 해양 동물에게 먹혀 조직이나 대변에 들어갔다4. (가능성은 낮지만) 바다에 사는 세균이 분해시켰다5. 유기물이 붙어 바다 밑으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