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현대인류, 1만 년 전보다 뼈 약해져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적다. 자동차도 타고 앉아서 일이나 공부를 해야 할 때도 늘었다. 반면 과거의 인류는
채집
이나 사냥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 했다. 오랜 시간 운동을 하지 않으면 뼈가 약해지는데, 혹시 현대인과 과거의 인류 사이에도 뼈 구조 차이가 있을까. 실제로 현대인의 팔다리 뼈 끝의 골밀도를 측정해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Acarospora)에 속하는 지의 등 극히 일부 종이 생명 현상을 이어갔고, 스페인 산맥에서
채집
한 붉은녹꽃잎지의(Xanthoria elegans)는 다른 어떤 귀환 생물보다 광합성 성공률이 높았다. 홍 박사는 “지의류는 ‘버티기 능력’에서는 최고”라며 “화성 녹화등을 꿈꾸는 우주생물학자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 ...
돌아온 말썽꾸러기 ‘지지리 마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삼촌~, 잘 있었어? 나 왔어~!”방학 때가 되면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썰렁홈즈를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다. 바로 썰렁홈즈의 조카인 ‘지지리 마란 ... 수 있으면 가져가라, 요 녀석.’식물을 그대로 스케치북에 담아 너무 거대해진 식물
채집
. 아무래도 결국 썰렁홈즈가 옮겨야 할 것 같은데…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전자코를 도입하기도 했어. 한 사람이라도 더 실종자를 찾기 위해 세월호 내부의 물을
채집
해 이 속에 냄새 성분을 분석했단다. 사람 코처럼 아니 개코나 돼지코만큼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는 전자코가 바꿀 우리의 미래가 정말 기대돼!내 발의 구린내 괴물만 없애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내 몸에서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생물종 조사는 전문가들이 주로 진행했어. 우리 같은 학생과 일반인 참가자들도 생물을
채집
통에 담아 보고할 수 있지. 하지만 우리는 각 분야별 생물종에 대한 특징을 익히고 체험하며, 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활동을 주로 했단다. 일반인은 생물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생물에 해를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빛을 향해 몰려들었다. 촘촘한 망으로 바닷물을 걸러내 연구실로 가지고 간 이 연구원이
채집
한 플랑크톤을 현미경으로 보여주자 여학생들이 소리를 질렀다. “징그러워요!” 동물 플랑크톤은 바퀴벌레와 비슷하게 생겼다. 반면 식물 플랑크톤은 선이나 원에 가까웠다. 생명공학자가 꿈인 백승헌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보기 전 ‘두근두근’하는 느낌이랄까요?2001년부터 2004년 9월에 걸쳐 제네시스호가
채집
해 온 태양풍을 분석한 결과가 2011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습니다. 태양계의 다른 행성에 비해 태양은 질량수 16인 산소 동위원소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 태양계 행성마다 다른 원소에 비해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50마이크로미터 그물을 통과하지 못하고 채 집통에 담긴다."신종인 것 같네요?" 돋보기로
채집
통을 관찰하던 조 연구 관이 툭 내뱉었다. 옛새우는 크기가 1~5mm로 맨눈에는 잘 보이지도 않는다. 어떻게 신종인지 알았을까. "직접 한번 보세 요." 조 연구관이 돋보기를 내밀었다. 작은 통 안에서 흰새우가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해양공학은 바다 전체를 활용하는 학문입니다. 바다 속 광물이나 어업자원을 효과적으로
채집
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파력이나 풍력 같은 에너지도 연구합니다. 바다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도 배웁니다. 바다 위에 거대 구조물을 짓거나 수중 도시를 짓는 공간 활용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 ...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배에 있는 굵은 황갈색 가로띠를 보고 쉽게 찾을 수 있지요. 이름처럼 꽃의 꿀을
채집
해 저장하는 벌로 꿀벌의 꿀을 ‘벌꿀’이라고 부른답니다. 꿀벌은 사회생활을 하는 것으로 유명해요. 꿀벌은 왁스 성분인 밀랍을 분비해 육각형 방들로 이뤄진 벌집을 만들어요. 그 안에는 아주 많은 일벌들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