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제"(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90년대 한국과학의 과제과학동아 l1990년 01호
- 90년대에 우리가 반드시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 각분야 전문가들의 글을 모아 우리의 과제를 점검해봤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발전의 이면에 숨겨져 있는 환경파괴문제와 과학기술운동의 방향을 점검해보는 좌담을 덧붙였다 ... ...
- 물리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적지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결론적으로 90년대의 우리나라 물리학 분야의 중요한 과제는 방사광 가속기 토카막 같은 국가적인 대형 연구시설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여 가동할 수 있도록 많은 과학자가 힘을 합쳐야 하는 것과 아울러 대학 및 연구소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은 연구그룹들의 연구를 ... ...
- 반도체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이들 연구소와 대학의 역량을 크게 육성해야 하리라고 본다.90년대에는 이러한 과제와 함께 차세대 반도체로 불리는 화합물반도체 초격자소자 바이오칩 등의 연구도 게을리해서는 안될것이다. 특히 갈륨비소반도체는 현재의 실리콘칩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반도체재료로 90년대 중반에는 ... ...
-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1990년 01호
- 90년대를 맞이하면서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기술발전을 돌이켜보면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올림픽전산화란 대사업을 성공적으로 완 ... 만들어서 21세기에는 8천만 배달 민족이 누구나 컴퓨터를 배워 쓸 수 있도록 해야 할 과제를 컴퓨터과학자들은 안고 있다 ...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과학동아 l1990년 01호
- 70년대에는 나중의 일로 치부되던 물 공기 식품의 질 문제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화급한 과제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89년에만 해도 이같은 환경문제는 '무뇌아' 등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피해, 식수원 오염, 자몽논쟁에서 비롯된 농약오염, 골프장 농약문제, 쇠기름 파문 등이 끊이지 않고 발생, ...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과학동아 l1990년 01호
- 해수유동, 해양생물, 해수의 화학적성분, 해저퇴적물과 지하구조가 세부 연구과제로 되었다. 육상지질분야는 암석의 조성과 지질구조선의 방향연구가 주목적이었다. 육상식물은 기지주변의 식생파악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대기과학 분야는 기상현상의 관측 기록 및 해석에 주안점이 두고 연구가 ... ...
- 인간성 회복이 우선과제과학동아 l1990년 01호
- 한국에도 녹색당이 출범했다.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공해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조직적으로 대처해 가겠다는 취지로 환경보호론자들이 모인 것이다. 오는 3월15일에 창당예정인 대한녹색당의 기본강령은 환경보존 반핵반전 인간성 회복 등 6개항. 이 강령들 중 '인간성 회복'은 서구의 녹색당에서는 ... ...
- AIDS가 남긴 숙제들과학동아 l1989년 12호
- AIDS백신이 바이러스의 모든 조각들을 제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은 버거운 과제이다.둘째는 활용가능한 실험동물들이 극히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HIV에 감수성 있는 실험동물로는 현재 침팬지가 유일한데 그나마 수가 적으므로 개발해 놓은 백신의 효능을 검사하기가 무척 어려운 실정이다 ...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과학동아 l1989년 12호
- 흠이 있는 것은 아닐가? '태양-중성미자'의 수수께끼는 천체물리학의 전선에 등장한 과제가 되었다. 그래서 거대한 중성미자 망원경이 건립되고 있는 중이다.1987년에 천문학자들은 지난 4세기 동안 보지 못했던 초신성을 보았다. '1987 슈퍼노바A'라고 이름 붙여진 이 초신성은 천문학의 발달에 크게 ... ...
- PARTⅡ 센서 SENSOR과학동아 l1989년 12호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정부가 바이오센서를 포함하는 센서기술 개발을 국책 연구과제로 선정, 1990년부터 중점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한 것은 매우 현명한 판단이라 생각된다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