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문제
화제
테마
제목
목표
과제물
d라이브러리
"
과제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업디자인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가져야하며 그 목적성은 그것이 활용되는 상황에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제1의
과제
를 안고 있다는 것이다. 여태까지 전공공부에서 망각했던 점을 새롭게 찾는 순간이었다.●―객관성의 추구한 회사에서만 공업디자이너로 근무한지 5년이 되는 지금, 회사에서의 디자인업무는 이전보다 많이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매우 중요한 존재였다. 따라서 이 동물들을 잡는 기술의 개발은 그들에게 주어진 커다란
과제
였다. 이를 통해 기술도 발달하고 과학정신도 싹텄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아무튼 이들 화석동물들은 당시의 환경을 말해주는 좋은 증거가 된다.북경원인의 후두골에는 작은 화산형 돌기가 있다. 이것은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연구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또 생물환경공학을 응용한 공업폐수처리 역시 시급한 연구
과제
라고 할 수 있다.이와 같이 유전생물공학의 능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무한하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미지의 학문세계이므로 학문적발전과 산업화를 위해 더욱더 많은 연구원과 기술자가 요구되고 있다.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토론한다.(세 학생이 이 활동을 하는 동안 나머지 학생들은 소집단으로 각자 서로 다른
과제
를 하며, 세 학생이 끝난 후, 또 다른 세 학생과 교대한다.)플라톤과 컴퓨터위와 같은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할 수 있고 다른사람과 토론과 논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기른다. 또 가능한 ... ...
part II 신문경쟁의 핵「CTS시스팀」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파고들었다. 그러나 국내 신문들이 효과적인 CTS시스팀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
가 더 많이 남아있다.우선 CTS에 대한 전문인력의 부족과 함께 기존 인력의 재교육 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신문사마다 수십억원 많게는 수백억원씩을 투입, CTS구축에 나서고 있으나 정확한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개발하였는데 국내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1983년 정부의 특정연구
과제
로 한국과학기술원과 주식회사 풍산이 공동으로 앞서 소개한 PMC-102를 만들어 내었다. 1982년 실험실 규모(20kg)에서 개발에 성공한 후, 1983년 파일롯(3백kg) 규모를 거쳐 1985년에는 양산(5t 이상)체제에 들어가기에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3μ파장대보다 1.0~1.1μ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나와 효율성을 높이는 문제가 새로운 연구
과제
로 되고 있다.최상삼박사는 지난 77년 국내 처음으로 광섬유개발에 나서 79년 0.85μ의 단파장 다중모드광섬유를 제조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국내 광섬유연구의 개척자로 알려져 있다. 그후 삼성 금성 대우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있는 전자출판, 그러나 우리가 새로운 출판혁명으로 소화해내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
가 너무나 많다.먼저 전자출판의 발전에 가장 장애물이 되는 것이 한글서체의 개발문제이다. 컴퓨터가 본래 미국에서 개발됐고 현재 하드웨어기술로도 미·일이 가장 앞서있으므로 대형시스팀을 외제품에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은 로봇의 설계와 구조를 각각 맡았다. 지리적으로도 떨어진 여러 연구소가 하나의 연구
과제
를 위해 협력한 것은 우리나라처럼 고립적인 연구풍토에서 귀중한 선례를 남긴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보행로봇을 개발하는 또다른 동기는 동물이나 사람이 어떻게 다리를 이용하여 걸어가는가를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부족한 우리 나라에서는 꼭 필요한 개발이 아닐까?이것이 해양학을 하는 사람이 연구할
과제
이며 개척할 분야일 것이라고 생각된다.자! 저 넓고 푸른 바다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보라. 한번 도전해 보고 싶지 않은가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