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바다에 살고 있는 포유류로, 육지에 살고 있는 포유류와 같이 소리로 의사소통을 해요.
주로
초음파를 이용하는데, 초음파는 주파수가 아주 높아서 사람은 들을 수 없지요. 돌고래가 초음파를 내보내면 이 초음파가 장애물이나 먹이에 부딪혀 되돌아와요. 돌고래는 이 되돌아오는 소리, 즉 메아리를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연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연구 결과도 나왔다.자연수를 나눈다고?라마누잔은 정수론을
주로
연구했는데, 라마누잔의 연구는 후대에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정수론은 수 자체를 다루는 분야다. 수 자체의 특성에 관심이 있는 학문이기 때문에 자연수 사이의 관계나 특성을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있지만, 기간이 짧아서 랩의 속사정을 알기 어렵다”며 “랩 로테이션 기간에는
주로
연구주제와 실적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더 알기 어려운 점도 있다”고 말했다. 대학원 정보 제공하는 미국 대학들미국 UC데이비스에는 ‘대학원생 권리 및 의무장전’ 이 있다. 첫 조항이 ‘알 권리(Right to Know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폴리스티렌 라텍스구’라는 이름의 고분자 나노입자로 만들어진 고체먼지가
주로
쓰여요. 그런데 액체먼지는 균일한 크기로 만들기가 어렵고, 사용 중에 서로 엉키거나 사라지기도 해서 시험용 인공먼지로서 문제가 많았어요. 이에 비해 고체먼지는 화학반응을 이용해 0.01~수 μm의 원하는 크기와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접사렌즈라고도 불러요. 촬영 대상을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서 찍을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아주 작은 생물이나 물체를 크고 자세하게 찍을 때 사용하지요. 나다브 바김이 매크로렌즈로 찍은 사진 덕분에 애벌레와 진딧물의 귀여운 얼굴을 사진으로 볼 수 있게 됐어요.보정 없이도 아름다운 진짜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아주 흔하게 펭귄을 볼 수 있어요. 특히 남극특별보호구역 No. 171 나레브스키포인트에는
주로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여름철에 둥지를 틀고 번식을 해요.하지만 이런 펭귄들은 특별보호대상이어서 일반인들이 직접 잡거나 만지면 안 된답니다. 그러나 멀리서 사진기나 휴대전화로 동물을 배경으로 ... ...
백수오 VS 이엽우피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알려 주세요! 조이레(홈스쿨링 3)백수오백수오는 ‘큰조롱’이라는 식물의 뿌리예요.
주로
한의학에서 약을 짓는 데 쓰는 재료로 사용되지요. 동의보감에서 ‘백하수오’로 전해져오다 지금은 ‘백수오’로 불리고 있어요. 큰조롱의 학명은 ‘Cynanchum wilfordii ’이에요. ‘은조롱’이나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인간의 행동을 83%의 정확도로 예측했다”며 “머지 않아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 ...
까마귀끼리 돕고 살아야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똑똑한 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동물들의 협력실험은 그동안 침팬지나 코끼리 등
주로
복잡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포유류를 대상으로 이뤄져 왔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인지생물학과 조르그 마센 교수팀은 두 마리의 까마귀가 동시에 양쪽에서 줄을 잡아당겨야만 철조망 너머의 치즈를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먹잇감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죽이기 위해 독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독사들이
주로
독이 없는 뱀들이 사냥하기에 벅찬 먹잇감을 잡아먹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타이판뱀은 호주의 긴털쥐나 반티쿠트(쥐처럼 생긴 잡식성 유대류)를 잡아먹는데, 이들은 잘 발달된 이빨과 턱을 이용해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