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뼈를 쳐서, 뼈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골수를 빼 먹은 것으로 알려졌어요. 골수는 주로 지방질이 많아 채소에 비해 에너지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어요. 이렇게 늘어난 에너지가 뇌 발달에 쓰여 뇌용량이 커질 수 있었지요. 또한 식단에서 채소의 비율은 줄고 고기의 비율이 늘자 치아가 점차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마실 수 있는 물로 바꾸는 ‘해수담수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요. 현재는 주로 바닷물을 끓이거나 압력을 가해 담수로 바꾸는 기술이 쓰이고 있어요. 물이 부족한 사막지역은 물론 섬에 사는 주민들에게도 유용한 기술이랍니다.Q 박사님처럼 물 공학자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공과대학 존 모클리 교수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모클리 교수는 주로 계산기계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었다. 진공관으로 계산 속도를 높인 기계식 컴퓨터도 그중 하나였다. 초기 컴퓨터에서 진공관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논리 회로를 구성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역할을 했다.결국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있고, 더 나아가서는 직접 원하는 글씨체를 만들 수도 있게 됐다.현재 사용하는 폰트는 주로 벡터 방식을 이용하는데, 트루타입폰트(.ttf)와 오픈타입폰트(.otf)가 대표적이다. 트루타입은 용량이 적어 속도는 빠르지만 해상도가 조금 떨어지는 반면에 오픈타입은 해상도는 높지만 용량이 커서 속도는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유로 사물인터넷 기기에 적합한 저전력(초경량) 암호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언급되는 암호 알고리듬은 ‘프린스(PRINCE)’다. 프린스는 2012년 세계적인 암호작성술 컨퍼런스인 ‘아시아크립트(Asiacrypt)’에서 덴마크공대 줄리아 보그호프 연구원이 제안했다. 암호 알고리듬은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컷에게 유리한 유전자가 각각 다른 위치에 있다. 암컷에게 유리한 수용체 유전자는 주로 X염색체 위에 있다. 수컷이 대립유전자를 개발해도 다음 세대에 ‘하나(XY)’만 전달할 수 있는 반면, 암컷은 그걸 무력화하는 유전자를 ‘두 개(XX)’나 전달할 수 있다. 유전자 싸움에서 암컷에게 절대적으로 ... ...
- [과학뉴스] “눈물은 맛있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줄리아 나비(Dryas iulia) 두 마리가 거북의 눈물을 마시고 있다. 거북은 통나무에서 햇볕을 쬐면서 기다려준다. 나비나 나방은 주로 꽃꿀이나 과즙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론 진흙이나 눈물, 피, 땀, 똥, 사체 등 다양한 액체에 주둥이를 들이댄다. 염분과 미네랄을 얻기 위해서다.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써야 할 때 마치 건전지처럼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물질인 ATP를 사용한다. ATP는 주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진다. 갈색지방이 활성화되면 UCP-1이라는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에서 ATP 생성을 막는다. ATP를 생성하는 대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체온을 높여주는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우리가 태양을 바라보면 너무 밝아서 순간 아무 것도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예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에게 이런 밝은 불빛은 치명적이랍니다.반면 사람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은 상이 맺히는 망막 부위에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각 원추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최근 ‘수포자(수학 포기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9월 중 확정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놓고 수학 학습량을 ... 박형주 교수도 “시험문제도 단순히 유형을 암기해서는 풀 수 없는 서술형 문제 위주로 내야 수학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