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당시 학부생들이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했다.KAIST의 50년 과정을 모두 겪은 양 교수에게 앞으로 KAIST가 어떻게 발전하길 바라는지 물어봤다. 그는 “새로운 개념을 만드는 학교가 되길 바란다”며 “그러기 위해선 과학뿐만 아니라 인문학, 철학, 사회에도 두루 관심을 갖는 인재가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착륙선, 로버를 모두 탑재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궤도 진입, 화성 착륙, 탐사 3가지를 모두 한 번의 임무로 완성하는 화성 탐사 임무는 톈원 1호가 처음이다. 중국이 이렇게 한꺼번에 모든 임무를 수행하려고 하는 이유는 화성 주변을 도는 자국 위성이 없기 때문이다. 화성에 무사히 로버를 착륙시킨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등이 검출됐는데 허용치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생태계, 긍정적·부정적 영향 모두 없어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이 직접 검출되지 않더라도 수중생태계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예를 들어 물의 온도나 부유물질에 의해 물이 탁해진 정도(탁도)가 바뀐다든가,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오 소장과 윤 소장은 사람과 공학, 디자인을 모두 이해하는 좋은 건축사가 되기 위해서는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건축사가 되기 위한 팁Q1 건축사가 되기 위해 진학해야 하는 학과는?지난해부터는 5년제 전문학위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소리로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음이 덜 나는 활동으로 바꾸는 등 이웃을 배려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해요. 우리 모두가 소음으로 인한 불편을 줄 수도 받을 수도 있다는 걸 꼭 잊지 마세요. “누구나 소음으로 인한 불편을 줄 수도 받을 수도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 ... ...
- [수학뉴스] 장르 넘나들며 게임 마스터하는 AI ‘뮤제로’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차례로 내놓았습니다. 일반적으로 AI는 ‘모델 기반 강화 학습’을 통해 다양한 변수를 모두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계획을 세웁니다. 알파제로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의실험을 진행해 미래의 상황과 그에 대한 보상을 계산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디오 게임처럼 시각적인 요소가 ... ...
- [특집] AI의 시력을 높여주는 '행렬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돌아다니며 겹치는 숫자끼리는 아다마르 곱을 하고 그 결과로 나온 행렬의 성분을 모두 더해 새로운 행렬을 만듭니다.만약 방탄소년단 진의 사진에서 가장자리의 정보를 얻고 싶다면, 이를 추출해낼 수 있는 필터값을 선정하고 아다마르곱을 진행하면 가장자리 정보가 뚜렷하게 남은 새로운 행렬을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르되시가 확률적 방법론을 통해 램지 수의 하한을 찾은 이후로 약 70년 동안 수학자들은 하한을 발전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20년 9월, 온라인 논문 등록 사이트 ‘아카이브’에 ... 내적 : 벡터를 연산하는 방식 중 하나. 두 벡터의 성분에 대응하는 좌푯값을 곱해서 모두 더한다 ... ...
- 얼마나 알고 있니? 혐오표현 영역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단어도 장애를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편견이 담겨있는 혐오표현입니다. 모두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표현이죠? 혐오표현은 혐오의 대상에 대한 차별을 강화하고 심한 경우 범죄로 이어져 인권을 크게 침해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에 퍼진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연수의 개수와 짝수의 개수, 유리수의 개수는 모두 같다’, ‘자연수와 실수는 모두 무한하지만 자연수의 개수보다 실수의 개수가 훨씬 많다’ 등 무한한 집합끼리도 크기가 다를 수 있음을 보인 사람 역시 칸토어였죠. 19~20세기를 대표하는 또 다른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는 칸토어의 이러한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