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석좌교수의 ‘통섭의 식탁’이다. ‘찰스다윈 서간집’부터 ‘노자’까지, ‘이기적
유전
자’부터 ‘마틴 루터 킹 자서전’까지 다양한 분야, 다양한 주제의 책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 속 중국의 재등장을 역설한 사회과학책 ‘리오리엔트’를 언급하며 제래드 다이아몬드의 인류학적 관점을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송두리째 바꿔 놓은 발견은 생물학 실험실에서 이뤄졌습니다. 1960년대에 생화학적,
유전
학적 연구를 통해 인류와 침팬지 사이의 분리는 500만 년전, 고릴라와의 계통 분리는 800만 년 전에 일어났다는 내용이 발표됐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1000만 년 전 유인원은 인류가 아니라는 것이지요.그런데 정작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목받았다. 2011년 논문은 ‘단일세포
유전
체 분석법’을 최초로 진핵생물에 적용해
유전
자 정보를 해독해낸 성과다. 세포 하나만 있어도 전체 게놈을 분석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지난 2월 17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은 조류 진화 초기에 갈라진 회조류란 식물플랑크톤의 게놈을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처음이다. 연구팀의 마이클 프롬 박사는 “이 연구를 가뭄에 잘 견디는 작물의 교배나
유전
자 조작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컴퓨터 등 생명정보학 전문가가 전체 인원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 그 덕분에
유전
자 분석에 특화된 빠르고 값싼 병렬컴퓨터를 만드는 데에 성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엑소믹스’라고 이름 붙인 이 시스템은 그래픽카드 1792개를 병렬 연결해 수백 개의 CPU를 지닌 슈퍼컴퓨터 못지 않은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증거로 채택되는 이유다.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서로 다르다. 한편 지문 패턴에는
유전
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따라서 지문 패턴 형성에는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듯하다. 지문은 임신 24주쯤이면 거의 완성돼 그 패턴이 평생 동안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1880년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리신을 분리해 뚱뚱한 쥐에게 투여하자 쥐의 체중이 줄어들었다. 사람과쥐의 이리신은
유전
자 염기서열도 같기 때문에, 이 호르몬은 비만치료약으로 개발하기도 쉽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1월26일자에 실렸다.에피네프린운동을 하면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이 나와 간에 있는 글리코겐을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갖춘 후손을 낳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한다.내가 오빠 냄새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유전
자에 있는 것이다. 내 코는 오빠 냄새를 좋아하도록 설계됐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 있든지, 언제 만났든지 관계없이 결국은 사랑에 빠지도록 결정돼 있었던 걸까. 이미 우리가 태어나기 전부터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숨어 있는지 간단히 알 수 있다.발음에 좌절한 당신, 나무젓가락을 입에 물어라잠재
유전
자도 없고 혀 운동능력도 부족한 사람은 ‘뻔하지만’ 혀를 혹사시켜야 한다. 부지런히 혀 근육을 움직이고 정확한 위치에 혀를 놓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습만 하면 발음은 향상된다. 선천적인 혀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전
자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진핵생물인 회조류가 시아노박테리아에게
유전
자를 받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를 만들게 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월 17일자에 실렸다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