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받아들인다는 사실이다. 마치 암컷 개구리가 큰 목소리를 내는 수컷일수록 건강한
유전
자를 가졌다고 판단하는 현상과 같다.그렇다면 웨이브 댄스를 잘 추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온몸의 근육이 고루 발달해 근력이 충분해야 하지만 특히 배와 등 근육이 잘발달해야 웨이브 댄스를 잘 출 수 ... ...
늦잠,
유전
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다른 연령대와 비슷해도 매일 새벽 5~6시면 깨기 때문이다. 이유가 뭘까. 나이가 들면서
유전
자에 변이가 일어나 수면 시간이 줄어드는 걸까.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이 변했기 때문이다. 노인의 수면 패턴은 넓은 U자형이다. 조금씩 자주 잠을 자서 평균 수면시간을 채운다. 반면 아이들은 좁은 U자형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복잡한 데이터과학이다. 그래서 많은
유전
학자들은 동시에 유능한 데이터 분석가이기도 하다. 자료를 효율적으로 비교해 새로운 특징을 밝혀낸다. 많은 데이터는 그 전제조건이다. 저자는 그 사실을 일찍 간파하고 데이터를 제공한 사람 중 한 명일 ... ...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일부 정신지체 증상도 비정상적인 세포 분열이 원인이다. 중심체는 이런 질환의
유전
학적 치료 수단으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중심체에 또다른 기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종플루 치료제로 이름을 먼저 알린 타미플루와 리렌자 등이 바로 항바이러스제다.
유전
정보 중 일부가 바뀐 변종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기존의 항바이러스제가 100% 효과를 발휘할지 알 수 없지만, 지금까지 항바이러스제(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는 H5N1이 속한 인플루엔자 A와 인플루엔자 B 모두에 ... ...
정답이 하나뿐인 스도쿠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최근 아일랜드 더블린대 개리 맥과이어 교수팀은 스도쿠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바로 스도쿠의 정답이 하나뿐이려면 먼 ... 증명한 맥과이어 교수는 “이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스도쿠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
자 염기서열 분석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꼭 필요한 약을 개발할수 있게 도와 주고 있답니다." 염영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
체의학연구센터장)조선왕조 실록의 다섯 마리 용이번에도 역시 하늘에서 책 한 권이 떨어졌어. 조…선…왕조실록? 조선시대에 용이 있었다는 얘긴가? 제주의 관리가 세종대왕에게 용을 보고한 글이 쓰여 있네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이오화학의 발전 덕분이다. 바실루스 메가테리움 처럼 플라스틱을 만드는 미생물의
유전
자를 이용해 화성에서 잘 사는 미생물을 만들어 낸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미생물을 이용해 화성의 환경을 바꿀 계획도 있다. 광합성으로 대기에 산소를 배출하거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미생물을 ... ...
모기 감각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아미노산 구조를 바꿔 여러 감각을 구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미국 브랜다이스대 행동
유전
체연구센터는 모기가 피를 빨아먹을 따뜻한 동물을 찾을 때 쓰는 감각과 화학물질인 살충제를 피할 때 쓰는 감각이 같은 통로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3일 ‘네이처’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신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런 거부가 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보이어 교수는
유전
공학의 선구자로 1981년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3월 9일자)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럼에도 재조합DNA 기술을 개발한 보이어 교수와 코언 교수 모두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다. 현재의 생명과학이 있게 한 가장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