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전
자가 2만 개가 좀 넘어 사람과 비슷했답니다. 또 사람의 질병
유전
자에 해당하는
유전
자가 최소한 1700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죠. 양서류와 유양막류(파충류, 조류, 포유류)가 3억 6000만 년 전에 갈라진 걸 생각해보면 둘 사이의 유사점이 꽤 크죠. 아무튼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입장에서는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런데 인간 남자 역시 아이가 자신의
유전
자를 물려받았는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
유전
자 조사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그냥 믿습니다. 이 말은 인간의 아버지가 생물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문화적인 개념이라는 뜻입니다. 일부일처제에서 남자는 아내의 아이를 자신의 아이라고 ... ...
유전
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제목: 생쥐 배아줄기세포, 난치병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다• 기사: 1981년, 케임브리지대
유전
학과 마틴 에번스 교수는 생쥐의 초기 배아에서 분리한 ICM을 배양함으로써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에번스 교수는 암덩어리의 일종인 배아암종을 연구하던 중 배반포라고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능력이 부족한 신경발달 장애다. 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
적 요인이 큰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자폐증을 진단받은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다시 자폐증을 앓는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은 5~10% 정도로 높다.울프 박사팀은 생후 6개월인 유아 92명의 뇌 영상을 찍었다. 이들은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율이다. 지방 맛을 보는 실험 결과 역시
유전
자 조사 결과와 같았다. ‘맛’을 느끼는
유전
자와 그에 따른 식습관이 모두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죽음을 맞이했다. 교모세포종은 방사선 및 화학물질에 노출, 바이러스, 면역결핍 등으로
유전
자가 변형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외에는 종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조기검진이나 예방이라는 단어가 무색할 정도다. 초기에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많이 읽었다. 도서관에 가면 생명과학 관련 서적이 있는 코너에 가서 쉬운 것부터 어려운
유전
공학 책까지 모두 섭렵했다.“자신이 있는 위치에서 열심히 해서 뭔가 성취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인터넷에 포스텍 입학정보 카페를 들어가보면 다들 이것저것 스펙이 화려해서 많이 겁을 먹었죠. ...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지 못해 환자가 목숨을 잃는다. 이번에 개발된 치료제 ‘슈펙트캡슐’은 이 돌연변이
유전
자를 무력하게 만들어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슈펙트캡슐은 국내에서는 18번째 신약이다. 일양약품이 2001년부터 연구해 10여 년 만에 신약허가를 받았다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죽인다. 결국 펩타이드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직접 넣고 DNA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만드는
유전
자를 넣는 것이다.수지상세포(DC)를 배양해 암세포(항원)와 함께 넣는 방법도 있다. 수지상 세포(DC)는 암세포(항원)를 세포 안으로 잡아들인 뒤 항원 펩타이드를 세포독성T세포에게 내 보인다. 이를 통해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음주, 성관계 등 위험한 행동에 쉽게 빠져드는 현상을 설명해준다.한편 뇌 발달 과정은
유전
자의 프로그램에 따라서만 일어나는 게 아니라 환경의 영향에도 민감하다. 즉 시냅스의 가지치기 가운데는 ‘쓰지 않으면 잃는다(use it or lose it)’는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자주 사용하는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