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갖춘 후손을 낳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한다.내가 오빠 냄새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유전
자에 있는 것이다. 내 코는 오빠 냄새를 좋아하도록 설계됐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 있든지, 언제 만났든지 관계없이 결국은 사랑에 빠지도록 결정돼 있었던 걸까. 이미 우리가 태어나기 전부터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유전
자가 2만 개가 좀 넘어 사람과 비슷했답니다. 또 사람의 질병
유전
자에 해당하는
유전
자가 최소한 1700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죠. 양서류와 유양막류(파충류, 조류, 포유류)가 3억 6000만 년 전에 갈라진 걸 생각해보면 둘 사이의 유사점이 꽤 크죠. 아무튼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입장에서는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런데 인간 남자 역시 아이가 자신의
유전
자를 물려받았는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
유전
자 조사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그냥 믿습니다. 이 말은 인간의 아버지가 생물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문화적인 개념이라는 뜻입니다. 일부일처제에서 남자는 아내의 아이를 자신의 아이라고 ... ...
유전
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제목: 생쥐 배아줄기세포, 난치병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다• 기사: 1981년, 케임브리지대
유전
학과 마틴 에번스 교수는 생쥐의 초기 배아에서 분리한 ICM을 배양함으로써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에번스 교수는 암덩어리의 일종인 배아암종을 연구하던 중 배반포라고 ... ...
정답이 하나뿐인 스도쿠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최근 아일랜드 더블린대 개리 맥과이어 교수팀은 스도쿠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바로 스도쿠의 정답이 하나뿐이려면 먼 ... 증명한 맥과이어 교수는 “이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스도쿠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
자 염기서열 분석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종플루 치료제로 이름을 먼저 알린 타미플루와 리렌자 등이 바로 항바이러스제다.
유전
정보 중 일부가 바뀐 변종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기존의 항바이러스제가 100% 효과를 발휘할지 알 수 없지만, 지금까지 항바이러스제(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는 H5N1이 속한 인플루엔자 A와 인플루엔자 B 모두에 ...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지 못해 환자가 목숨을 잃는다. 이번에 개발된 치료제 ‘슈펙트캡슐’은 이 돌연변이
유전
자를 무력하게 만들어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슈펙트캡슐은 국내에서는 18번째 신약이다. 일양약품이 2001년부터 연구해 10여 년 만에 신약허가를 받았다 ... ...
늦잠,
유전
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다른 연령대와 비슷해도 매일 새벽 5~6시면 깨기 때문이다. 이유가 뭘까. 나이가 들면서
유전
자에 변이가 일어나 수면 시간이 줄어드는 걸까.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이 변했기 때문이다. 노인의 수면 패턴은 넓은 U자형이다. 조금씩 자주 잠을 자서 평균 수면시간을 채운다. 반면 아이들은 좁은 U자형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많이 읽었다. 도서관에 가면 생명과학 관련 서적이 있는 코너에 가서 쉬운 것부터 어려운
유전
공학 책까지 모두 섭렵했다.“자신이 있는 위치에서 열심히 해서 뭔가 성취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인터넷에 포스텍 입학정보 카페를 들어가보면 다들 이것저것 스펙이 화려해서 많이 겁을 먹었죠.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율이다. 지방 맛을 보는 실험 결과 역시
유전
자 조사 결과와 같았다. ‘맛’을 느끼는
유전
자와 그에 따른 식습관이 모두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