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자신의 저서 ‘눈송이의 비밀’에서 밝히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눈결정 하나는 대략 100경 개의 물 분자로 이뤄져 있고, 그 안에는 500개에 하나 꼴로 정상에서 벗어난 돌연변이 물 분자가 있다. 그래서 믿을 수 없을만큼 많은 경우의 수가 생긴다. 그래서 두 눈결정이 완벽하게 똑같은 일은 사실상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있다. 윤성빈 선수의 경우 햄스트링의 근육량이 70에 못 미쳤다. 스켈레톤 선수들은 100m를 11초 초반에 끊고 200kg이 넘는 역기를 들고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만큼 근육량의 비율을 맞출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훈련을 마친 뒤 몸에 쌓인 피로를 최소로 줄이는 회복 방법도 찾아냈다. 선수들의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지만, 훈련만으로 자세를 교정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 시속 약 100km의 속도로 100m 이상 빠르게 날아가는 4~5초 동안 자세를 바꾸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자세를 바꿨다가 사고나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최 교수는 “안전 장비 없이 스키를 신고 하늘을 난다는 심리적인 두려움을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다. 정 연구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던 끝에 필름을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로 코팅하면 가장 효율이 좋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말했다. 연구가 성공하면 초소형 온도 센서를 장착한 숨 쉬는 전자피부가 탄생하게 된다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건 크게 그리는 사람이거든요. 미야자키의 비행체를 실물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네요! 100년쯤 전에는 항공기가 아주 위험한 물건이었습니다. 나무로 만들어 부서지기 쉬웠고, 엔진도 자주 고장이 났죠. 그래도 필사적으로 날아야겠다고 생각한 사람은 있었습니다. 1914년, 처음으로 엔진이 4개 달린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막아주지요. 씨글라이더는 수심 1000m까지 잠수가 가능하고, EMAPEX는 부력을 조정해 수심 10~100m 사이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어요. 그러면서 위치와 깊이, 수온, 염분 및 난류 등 여러 데이터를 기록해 전송하지요.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바다와 빙붕의 관계를 파악하기를 기대하고 있답니다. NASA ...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통과하는 순간 초당 1000장이 찍혔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는 양자 타이머가 도입돼 100만 분의 1초까지 기록됐다. 그러니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과학기술을 한번 관람해보자. 기록 외에도 관전 포인트가 많다. 초고속 카메라가 이상화 선수의 기록 단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스켈레톤의 윤성빈 ...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년 9월에 발표한 ‘프렌차이즈 치킨 품질 시험 결과보고’에 따르면, 기름에 튀긴 치킨은 100g당 평균 299kcal입니다. 한 마리당 평균 열량은 1851kcal이고요. 가령 1일 권장 영양섭취 기준이 대략 2000kcal 전후라고 하면 치킨 1~2조각(평균 70~90g)만 먹고 손을 떼는 게 좋겠네요. 치킨과 함께 떠오른 야식의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있는 경량 불연성 자재를 개발해 상용화했다. 단열재를 불연성 자재로 바꾼다고 100% 안심할 수는 없다. 모든 건물의 외벽은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이를 연결하는 ‘슬리브’ 부위가 있다. 이 부분은 흔히 불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건물이 낡으면서, 또는 지진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리면서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중요한데, 이상화 선수를 제외하면 출발 속도가 세계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메달권은 100m를 10초대 초반에 끊어야 하는데, 이상화 선수를 제외한 여자 선수들은 대부분 10초대 중후반이었다. 출발 속도를 향상시킬 방법을 고민하던 대표팀 코치진은 선수별로 출발 동작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