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년 과기정통부 예산 18조6000억원 전년 6.3%↑…바이오헬스·차세대반도체·미래차 중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바이오’, 식물에서 화학제품과 연료를 얻는 ‘화이트 바이오’를 포함해 치매 등
뇌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4155억 원을 투입해 핵심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한다.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과 화합물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서비스 제공 등에는 1208억 원을 지원하고, 2027년까지 레벨4 ... ...
'분자 꼬리표' 붙은 RNA가 알츠하이머병 치료 열쇠 될까
연합뉴스
l
2021.08.30
tauopath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잘못 접힌 타우 단백질로 구성된 이 신경섬유 매듭은
뇌
의 뉴런(신경세포)이 병들면서 침적된다. 많은 과학자는 이 신경섬유 매듭의 발생이 뉴런의 손상과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연구해 왔다.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최상의 약을 개발하려면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넣으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암 치료제가 되고 치매 치료제를 넣으면
뇌
에 비정상적으로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와 같은 치매 유발 단백질을 없앨 수 있다. 오유경 서울대 약학대학장은 “나노 전달체는 미세한 혈관 구멍을 지나 약물을 전달하고 제조 공정상 세균이 쉽게 걸러지도록 50∼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활동하며 누구보다 도시의 미래에 대해 고민을 해 온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는 “도시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히 답한다. 모여서 영향을 받고 창조적 기회를 증가시키는 등 ‘인류 최고의 발명품’ 도시만이 갖고 있는 장점이 여전한 만큼 계속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
한 걸음 다가온 '루게릭병' 정복, 치료 열쇠 '마이크로RNA' 발견
연합뉴스
l
2021.08.27
이 세밀한 조절 기제를 더 연구하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돌연변이가 어떻게
뇌
질환 위험을 키우는지 알게 될 거로 연구팀은 기대한다. 궁극적으로 이런 성과는 질병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변화의 핵심을 건드리는 새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물론 루게릭병에만 의미가 ... ...
자폐 생쥐 빛 자극 줬더니 회복…자폐 환자 사회성 저하 원인 규명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결손 생쥐의 사회성 저하 및 광유전학 자극을 통한 회복 모식도. IBS제공. 자폐 생쥐의
뇌
에서는 억제성 뉴런 중 사회성과 인지능력이 관련된 ‘Pv 뉴런’의 NMDA 수용체 기능이 약화됐다. 이는 한번에 여러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다발성 발화’를 감소시켜 뉴런 간 상호작용을 저해했다. 연구진은 ... ...
소금 한 알 크기 ‘뉴로칩’ 770개가 동시에 생각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선임연구원은 “건설사업장 등 위험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가 쓰는 안전모 안쪽에
뇌
파 측정 장치를 붙여 피로도, 집중력 저하 등을 모니터링해 사고를 예방하는 스마트 헬멧을 국내 스타트업과 개발하고 있다”며 “현장에서 스마트 헬멧의 성능 확인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뇌
-기계 잇는 기술 집중 투자…바다를 수소 생산기지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구축도 추진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뇌
연구 투자전략이 국내
뇌
연구 및 산업을 획기적으로 도약시키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국제 동향에 부합하는 신시장 개척을 위해 해양수산 분야의 기술 혁신과 사업 발굴을 위한 ... ...
[인사] 연세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치주과장 이동원 △보존과장 신수정 △암병원 폐암센터 소장 이성수 △심
뇌
혈관병원
뇌
혈관센터 소장 이경열 ◇연세대 안과병원 △ 진료부장 김성수 △ 안과장 ... ...
KAIST, 치료제 듣지 않는 난치성 간질 발병 과정 밝혀
연합뉴스
l
2021.08.25
간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세포 내 유전학적 관점에서부터 단일 신경세포의 전기생리학,
뇌
전체 신경망 수준의 시뮬레이션 연구가 이뤄져 복잡한 발병 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애널스 오브 뉴롤로지'(Annals of Neurology) 지난달 29일 자에 실렸다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