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유행이 영유아 지능 발달 방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발달한다고 보고 있다. 이지현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인지능력은
뇌
의 크기나 무게가 커지는 것보다 신경세포끼리의 연결 즉, 연결 신경망이 많이 발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만 3세에는 신경망 발달이 최고조에 이르며 만 5세 이전에 신경망의 약 90%가 완성된다"고 설명했다. 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카이랄 액정 결함 위상수학으로 해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기존 레이저 스페클 영상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연구팀은 향후 동물모델을 이용한
뇌
졸중 치료법 개발과 혈관질환 임상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광학 분야 국제학술지 ‘옵티카’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영상+]
뇌
세포에 침투해 난동 부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박쥐의
뇌
세포로 감염되는 순간. 붉은 반점이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로 박쥐의
뇌
세포 (회식 덩어리) 사이를 파고들며 증식한다.니콘 스몰월드 2021 제공 ... ...
"인지기능 저하,
뇌
졸중 예고 신호"
연합뉴스
l
2021.08.20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은
뇌
미세혈관 질환, 신경 퇴행, 염증 같은
뇌
내 손상(intracerebral damagd)이 축적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학-신경외과학-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 ...
'똑똑한' 갑오징어 "나는 어디서 무엇을 먹었는지 기억한다"
연합뉴스
l
2021.08.18
갑오징어를 수십 년간 연구해왔지만 이런 지적 행동은 우리마저 놀라게 했다"면서 "
뇌
와 행동 간 관계와 관련해 앞으로도 많은 발견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갑오징어는 수명이 약 2년 정도로 노화에 따른 기억력 저하를 연구하는 대상이 돼 왔다. 연구진은 동물의 기억력을 직접 측정하기 ... ...
'정위기능 신경외과학'으로 파킨슨병과 싸운 정상섭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받았다. 2000년에는 파킨슨병 환자의
뇌
에 전극을 심고 자극을 주어 운동장애를 줄이는
뇌
심부자극술을 국내에 처음 도입했다. 고인은 반측성 안면 경련 수술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고인은 학술 활동과 후학 양성에도 공을 들였다. 1990년 대한정위기능 신경외과학회를 창립해 초대 회장을 지냈고 2 ... ...
30분 깊게 자는 낮잠, 유의미한 수면 보충 효과 있다?
연합뉴스
l
2021.08.13
무시할 수 없는 수치다. 서파 수면은 피로 회복 효과가 큰 가장 중요한 수면 단계다.
뇌
파가 느려지는 서파 수면 단계에선 근육의 긴장이 풀리고 맥박과 호흡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다. MSU 수면·학습 연구소의 킴벌리 펜 소장(심리학과 부교수)은 "일정 기간 잠을 못 자면 특히 서파 ... ...
日연구팀,
뇌
에 신경난치병 치료약 효율적 전달 기법 첫 개발
연합뉴스
l
2021.08.13
뇌
안에 약물이 제대로 닿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연구팀의 요코타 다카노리 교수(
뇌
신경내과)는 새 기법을 활용한 임상시험을 2023년 시작해 부작용과 효능을 확인할 예정이라며 핵산의약을 사용할 경우 한 차례 투여로 3~6개월 효과가 지속되기 때문에 환자 부담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英 연구진 “AZ 혈전증 발생 드물지만 발생하면 치명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약 23%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혈소판 수가 적거나 이미 혈전증,
뇌
출혈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VITT로 사망할 위험이 73%나 됐다. 50세 이상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고 VITT가 발생할 위험은 10만 명당 1명꼴로 낮았다. 영국은 올해 5월 희귀 혈전증이 발생할 ... ...
소변 1mL 극소량으로 전립선암 진단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기술을 개발할 실마리를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낙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과 봉기완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강성구·심지성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협력연구를 통해 소변에 대단히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엑소좀 내 전립선암 관련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