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뇌"(으)로 총 4,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의학게시판] 지적장애·뇌전증 유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 外동아사이언스 l2020.07.07
- 교수팀은 지적 장애와 뇌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CYFIP2’ 유전자의 뇌기능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CYFIP2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CYFIP2의 발현이 감소된 마우스의 신경세포는 정상 마우스의 신경세포에 비해 시냅스의 크기가 커져 있었으며, 신경세포의 ... ...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동아사이언스 l2020.07.06
- 잘라내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은 “비정상적인 유전자 복제로 발병하는 퇴행성 유전 뇌질환인 ‘헌팅턴병’을 연구하고 치료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태 가톨릭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동 시간을 알고 원하는 시점에 유전자 가위가 ... ...
-
- 국가 R&D 데이터 저장하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0.07.02
- 부총리는 이어 “각 부처에서 운영 중인 274개의 소재자원은행을 구조조정해 줄기세포·뇌·미생물 등 14개 분야별 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며 "이를 통해 수요자가 원하는 소재와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연구 필수자원을 자립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홍 부총리는 ... ...
-
- "뇌에 철분 쌓이면 치매 진행 빨라진다"연합뉴스 l2020.07.02
-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학회 연구실장 키스 파고 박사는 뇌세포의 철분 축적과 인지기능 저하 사이에 일부분 연관성이 있기는 하지만 인지기능 저하가 철분 축적을 가져오는지 아니면 철분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논평했다. 그러나 ... ...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2020.07.01
- 재생을 위한 세포 가소성을 연구한 임대식 KAIST 교수(맨 위 사진 오른쪽), 심장과 면역, 뇌 상호작용을 규명한 오구택 이화여대 교수, 지방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한 김재범 서울대 교수, 단백질 분해 과정을 연구한 황철상 포스텍 교수가 선정됐다. 기초의과학 분야에서는 면역지질대사를 ... ...
-
-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에 서판길 뇌연구원장2020.07.01
-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를 거쳐 2018년부터 한국뇌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제1회 영암문화상 대상과 아산의학상, 기초연구진흥공로 장관표창 등을 받았다.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2003년 제정됐다. 시상식은 3일 2020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 ...
-
- "세포서 수분 빠지면 노폐물 제거 시스템 작동한다"연합뉴스 l2020.06.30
- 이용해 탈수 상태의 세포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했다. 성상교세포는 뇌에서 신경세포(뉴런)의 기능을 돕는 면역세포다. 세포에서 수분이 빠지면 세포 안에 있던 NHE7 단백질(이온 운반체)이 외부와의 경계선인 원형질막으로 위치를 옮겼다. 그러면 나트륨 이온이 운반체를 타고 세포 내로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2020.06.30
- 있어 시야 전 범위에서 색 정보를 입력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미국 다트머스대 심리뇌과학과 캐롤린 로버트슨 교수팀은 시야 중심부와 주변부에 대한 주의력 차이가 대상의 형태나 존재 지각 여부뿐 아니라 색 지각 여부에도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시야 주변부의 색을 ... ...
-
- 피부세포로 척수손상·루게릭병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06.29
- 교수(왼쪽)와 함께 연구에 참여한 이현아 연구원.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피부세포를 뇌와 척수에서 일어난 운동 자극을 신체에 전달하는 ‘운동신경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운동신경세포가 파괴되는 루게릭병과 척수손상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 "KAIST 교수·대학원생들과 함께 온종일 AI 코딩 세계에 빠져봤습니다" 과학동아 l2020.06.28
- 짤막한 강연으로 행사를 시작했다 김 교수는 “AI는 수 조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뇌를 컴퓨터로 재현한 것”이라며 “빅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고성능의 컴퓨터, 그리고 코딩으로 구현되는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강력한 AI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나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