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전자기력과 강한 핵력, 약한 핵력이 작용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 ‘표준모형’을 제안하기에 이르렀지요. 가속기 실험이 거듭되며 표준모형이 예측한 입자가 차례로 발견되다 마침내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가속기 실험인 ATLAS와 CMS가 ‘힉스’라는 기본입자를 발견하며 표준모형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로봇이에요. 꼬리지느러미 위에 달린 태양 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전기를 만들어요. 전지 안 금속에 햇빛이 닿으면 햇빛 속 광자가 금속의 전자를 튕겨내는 광전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이에요. 이 전자가 전선을 타고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지요. 이렇게 태양 빛은 발전기 없이도 전기 에너지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상아질이 드러나 통증을 일으킨답니다.치아의 탄성계수는 음료에 치아를 담근 뒤 5분 동안 약 5배 감소했어요. 치아가 외부의 힘에 견디는 능력이 5분의 1로 떨어진 셈이지요. 이런 거칠기와 탄성계수의 변화는 이미 상한 치아일수록 더 빠르게 진행됐답니다.홍승범 교수는 “실제 치아는 보호막 ... ...
- 화성행 탐사선, 7월에 몰려든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각각의 계획은 무엇이고, 왜 지금이 화성 여행 성수기일까요? 미국, 중국, UAE “7월 안에 화성 간다!”7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다섯 번째 화성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를 발사할 예정이에요.(7월 20일 기준) 2011년 탐사로버 ‘큐리오시티’를 보낸 지 9년 만이지요. ‘인내’라는 뜻의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해하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기란 쉽지 않지요. 무질서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고, 그 안에서 보이지 않는 가치를 찾기 위해 시각화하는 예술 작업을 ‘데이터 시각화’라고 해요.데이터 시각화 아티스트 서강대학교 민세희 교수는 “데이터 시각화를 할 때 최대한 의도를 배제하기 위해 ...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재밌어서 모두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는 장난을 치면 어떨까?’알베르트는 몇 달 동안 공들여 장난을 준비했다. 온갖 종류의 세제를 모아 남몰래 끓인 후 농축 세제를 만든 것이다. 그리곤 깜깜한 새벽에 학교 건물로 들어가 세면대에 농축 세제를 가득 붓고 수도꼭지를 전부 틀어 학교를 거대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어머니와 꿀록 탐정, 개코는 모두 잭의 말을 믿지 않는 눈치였어요. 그때였어요. 잭이 안고 있던 닭이 ‘꼬끼오~!’하고 외치더니 정말로 황금알을 낳았답니다.“헉! 진짜 황금알이다~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1000배 빠른 로봇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수소를 생성하는 촉매를 만들었죠. 촉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로봇 과학자는 8일 동안 172시간 일하며, 6500여 번 기기를 조작하고 총 688가지의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인간 연구자의 도움 없이 수소를 만드는 능력이 기존보다 6배 효율이 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쿠퍼 교수는 “앞으로 로봇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용어정리*농 : 몸 안에 병균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며 조직이 썩어 생긴 물질이나, 파괴된 백혈구, 세균 따위가 들어 있는 걸쭉한 액체.*수의산과학 : 인간으로 보면 산부인과와 같은 수의학 분야. 동물의 번식, 출산, 관련 질환 등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뜯고, 접고, 붙이면 몸속이 보인다? 우리 몸 탐험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꼼꼼히 브로마이드를 읽a은 뒤, 입체 모형을 조립했죠. 그런데 입체 모형 중 우리 몸 안에 있을 것 같지 않은, 곤충 로봇처럼 생긴 이상한 모형이 있었어요.“이건 ‘박테리오파지’라고 해요. 세균을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지요. 코로나19, 에볼라, 메르스 같은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해를 입히지만,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