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보다 펭귄은 암수가 일주일 정도씩 교대로 알을 품는다고 해요. 교대한 펭귄은 잠도
안
자고 바다에 나가 크릴새우로 배를 가득 채우고 다시 둥지로 돌아오지요. 이때 펭귄의 몸에 있는 기록 장치를 떼어내 데이터를 분석하면 펭귄의 생활을 알 수 있는 거예요.일주일이 지난 후 연구팀은 바다에서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한쪽 금속판에만 열을 가하면 열전 소자의 양쪽에 온도 차이가 생겨요. 그러면 반도체
안
에 있던 전자 또는 정공*이 온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열 에너지를 반대쪽 금속으로 전달하죠. 즉, 열에 의해 전자의 흐름이 생겨 전기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거예요. 연구팀이 제작한 발전기는 1m2당 약 25mW ... ...
[가상인터뷰] 명탐정 꿀벌은 냄새 훈련을 받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꿀벌의 84%는 5시간이 지나기 전에 해바라기 밭을 가리키며 8자 춤을 췄지. 심지어 1시간
안
에 해바라기를 찾은 꿀벌도 있었어. 이런 냄새 학습 효과는 최대 4일 간 지속됐단다. 해바라기의 꿀을 너무 많이 뺏는 거 아냐?해바라기와 꿀벌은 일종의 ‘거래’를 하는 거야. 해바라기가 먼저 우리에게 ... ...
[특집] 찬란한 태양빛에서 전기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다 닳지 않을까 걱정을 했던 기억이 있어요. 교체용 배터리를 챙겨 놓지 않으면 불
안
했답니다. Q 배터리가 없는 전자기기는 왜 필요할까요?앞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훨씬 더 많은 제품들이 전자기기로 변할 거예요. 그러면 이 전자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더 많은 배터리가 사용될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결과 우리 예쁜꼬마선충이 녹농균을 만나면 어떻게 피하는지, 녹농균은 위험하니 먹으면
안
된다는 조언을 후손에게 전달한다는 것을 알아냈지. 너희는 녹농균을 어떻게 피해?우리 예쁜꼬마선충이 녹농균을 먹으면 먼저 장에서 녹농균을 소화시켜. 그런데 장에서 소화된 녹농균의 구성 물질 중 ‘P1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힘을 주고받지요.약한 핵력의 매개입자는 독특한 성질이 있어요. 짧은 시간 동
안
생겼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가상입자’란 사실이죠. 마치 두더지 게임의 두더지처럼요. 이런 탓에 우리에게 익숙한 전자기력 등에 비해서 약한 핵력을 통한 물질 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요. 수많은 ... ...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현상을 발견했어요. 이를 ‘압전 효과’라고 부르지요. 결정물질은 평상시엔 물질
안
에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평형 상태를 이루며 전기적으로 중성을 띠어요. 하지만 압력을 가하면 결정의 내부 배열이 틀어져요. 그러면 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의 평형이 깨지고, 전하의 낮은 곳과 높은 곳이 ... ...
[특집] 숨은 전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무선 청소기, 무선 이어폰 등 무선 전자제품은 전기 코드를 꽂지 않는 대신 전자제품
안
에 들어있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받아요. 여기에 사용되는 충전식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을 주요 원료로 사용한답니다. 그런데 리튬 이온 배터리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많은 환경 파괴가 ... ...
[과학뉴스] 숙주식물 유전자를 해킹해 기생 타이밍 노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얻어먹지요. 그런데 기생식물은 영양분을 빼앗으면서도, 숙주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면
안
돼요. 숙주식물이 죽거나 아프면 기생식물의 생명도 위태로워지거든요.실새삼은 꽃을 피우는 식물이지만 꽃 피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없어요. 그래서 연구진은 실새삼이 숙주식물이 가진 유전자를 읽어 ... ...
[가상인터뷰]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시작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있어. 싸움 소식은 재빨리 퍼져 1시간
안
에 구경꾼들이 모이고, 평균적으로 매일 1시간 동
안
싸움을 지켜 봐. 가장 큰 싸움이 벌어졌을 때는 그 지역에 서식하는 딱따구리 전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0여 마리가 구경꾼으로 모여들 정도라니까. 심지어 제 둥지를 비워놓고 3km 이상 먼 곳에서 온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