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코로나19, 박쥐는 옮기고 닭은
안
옮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동물에 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취약한 종과 그렇지 않은 종이 있다. 미국과 스페인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이런 차이의 원인을 세포 표면 단백질에서 찾았다. 주앙 로드리게스 미국 스탠퍼드대 구조생물학과 연구원과 수산나 빌라마우 스페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요. ● 김동옥 연구원의 논문읽기 노하우 한 달 동
안
읽는 논문 수는?실제로 읽는 논문은 한 달에 서너 편 내외입니다. 논문의 내용이 맞는지 검증하는 데 오래 걸려서 많이 읽기는 힘듭니다. 대신에 꼭 다 읽지 않아도 매주 대여섯 편 정도는 새로운 논문을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 가운데 ‘필요한 징계’ 부분과 ‘감화 또는 교정기관에 위탁’ 부분을 삭제하는 개정
안
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제 더 이상 동물에게도 사람에게도 채찍질은 소용없다.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이용한 곡을 만들기도 했습니다.곡을 작곡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안
작곡가는 곡을 쓰기 위해 직접 개미수열의 20항까지의 값을 구한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16항부터 수의 개수가 100개가 넘어가면서 오류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0항은 무려 302개의 숫자로 구성돼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웅하! 2021년 새해가 밝았소!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소! 그리고 여러분에게 할 얘기가 있소! 아쉽게도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닥터 소는 물 ... 악기를 연주한다니, 얘기만 들어선 어떤 방식으로 연주를 한다는 건지 상상이 잘
안
되죠? 영상을 보면 한 번에 이해가 될 거예요. 신나는 음악은 덤 ... ...
[특집] 지구촌 곳곳을 숫자로 뜯어보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정답은 책 속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
안
에 있을 거야. 지구촌 곳곳을 숫자로 들여다 보면 답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몰라. ...
[가상인터뷰] 더위를 견디는 낙타 털을 따라 해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이 혹
안
에는 지방이 들어 있어. 이 지방을 분해해서 물과 영양분을 얻으면 며칠 동
안
쫄쫄 굶어도 문제없다는 말씀! 혹뿐만 아니라 내 몸 구석구석에 혹독한 사막 기후를 잘 견딜 수 있는 비밀이 숨겨져 있어. 예를 들면 눈과 귀 주변 털이 길고 촘촘하게 두 겹으로 나 있어서 모래바람이 불어도 몸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24절기란 1년을 15일 간격으로 나눠 각 시기의 계절적 특징을 표현하는 역법이에요. 반구
안
쪽 시각선과 교차 되는 가로선이 절기를 나타내는 절기선이에요. ‘절기선’은 태양의 남중고도가 같은 절기들을 하나의 선으로 표시해요. 예를 들어 24절기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은 하짓날엔 영침의 ... ...
[특집] 너무 매력적이어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교배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했어요. 그 결과, 연구팀은 200~300년
안
에 야생고양이와 집고양이의 유전자가 섞여 두 종을 더는 구분할 수 없을 거란 결론을 내렸어요. 특히, 개체 수가 적은 야생 고양이의 유전자 보존이 더 위협을 받는다고 설명했지요. 스위스에는 100만 마리가 ... ...
[특집] 해발 4300m에서 콜라를 폭발시킨 교수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녹는 것에 착
안
한 대답이었죠. 쿤츨만 교수는 ‘그 대답이 맞는지 증명해 보자’라고 제
안
했어요. 기압에 따라 콜라 분수가 치솟는 높이가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교수님은 미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콜라를 폭발시켰어요. 콜로라도에 있는 해발 4300m의 ‘파이크스 피크’ 산, 노스캐롤라이나,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