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AI의 시력을 높여주는 '행렬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값을 골라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씁니다. 보통 행렬 안에서 최댓값만 고르는 방법을 사용하며, 그밖에도 평균이나 최솟값을 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합성곱층을 거쳐 새로 만들어진 행렬을 풀링하면 이미 지에서 찾은 가장자리 정보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정보의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면 차 안에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해진다. 앱 스토어에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거의 무한히 쌓아놓은 애플이 유리한 건 당연한 얘기다. 심현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스마트폰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시작했고, 두개골 안에서 검은빛이 나는 유리 물질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두개골 안의 유리 물질을 남성의 뇌가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했어요. 그 결과 유리 물질은 인간의 뇌 신경 세포와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고, 뇌에서 볼 수 있는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지요. 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눈을 치우는 최첨단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레고로 제설차를 만들었습니다. 제설차는 바닥에서 쓸어 담은 눈을 뒤에 세워진 트럭 안으로 운반해요. 눈 치우는 속도가 느리지만…, 멋있으니까 괜찮아! ● 반 고흐의 저녁 식사 조회수 298만 회 미술에 별 관심이 없는 친구들도 ‘빈센트 반 고흐’라는 이름은 들어봤을 거예요. 서양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율주행 기술을 연구하는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의 정성균 연구원입니다. 저는 안전하고 편리한 자율주행차는 물론 지도를 만들거나 차량을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그중에서도 자율주행차의 카메라로 주변 환경과 물체를 인식하기 위해 이미지 인식 AI를 만듭니다. ... ...
- [기획] 외계인도 답을 모르는 수학 난제, 램지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어렵다는 거지.수동 : 저 외계인, 자기도 답을 모르는 문제를 낸 거 아니야? 그럼 1년 동안 수학 문제를 풀 게 아니라 전쟁을 준비해야겠군. 다 덤벼~!수리 : 잠깐! 최근 ‘다색 램지 수’의 하한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 기존 연구에서 많이 쓰는 확률적 방법에 비확률적 방법을 접목해 ...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흡수한 빛이 증폭돼 효율적인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간 광사태를 작은 입자 안에서 일으키기가 어려워 상용화되지 못했다. 제임스 슉 미국 컬럼비아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란탄족 희토류인 툴륨(Tm) 이온을 첨가해 순식간에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만드는 연구자나 개발자의 수요는 이미 높습니다. 아마 10년 동안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요. 3차원 라이다 센서의 가격이 점점 내려가고 있고, 이미 자동차나 휴대전화, 도로 등 다양한 곳에 쓰이고 있어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점점 커지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또다시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했어요.“실러캔스가 대체 어떤 물고기길래 용왕님이 상도 안 주고 도망가는 것이오?”“흐음~, 고생대에 나타난 실러캔스 형님 아니우?!”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지구 생명체의 첫 전성기, 고생대! 고생대는 지구 역사상 처음으로 화석이 많이 발견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체뿐 아니라 당시의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항체(抗體, antibody) 우리 몸 안에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막는 수비대, 면역세포가 있어요. 면역세포는 직접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등)를 제거하기도 하고,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에 반응해 ‘항체’를 만들어서 질병을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