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자연계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동위원소를 ‘희귀 동위원소’라 불러요. 핵물리학자들은 안정한 핵을 이루려면 어째서 특정한 수의 양성자와 중성자들이 모여야 하는지 라온으로 연구하며, 새로운 희귀 동위원소를 찾으려고 해요. 필자 역시 라온에서 진행될 충돌 실험인 ‘LAMPS’에 참여하고 있어요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뒤 집에서 키워도 괜찮아요. 다만, 다른 지역에서 채집한 나비를 집으로 데려오는 건 안 돼요. 또 데려온 뒤에는 나비에게 맞는 먹이와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도 필요하지요! 나비가 탈출하지 않도록 입구를 망으로 씌우는 것을 잊지 마세요! Q 지사탐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까요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굳어지며 생기는 덩어리인 혈전 등의 이유로 다리에 쥐가 나곤 해요. 비행기를 타는 동안 좁고 불편한 자세로 의자에 오래 앉아 다리가 저리는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도 같은 이유예요.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다 보니, 혈전이 생겨 다리가 붓고 저리는 거예요.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이나 ... ...
- [가상인터뷰] 밥을 먹은 개미가 배에 머리를 가져다 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세균을 줄이고 질병을 예방한 거야.인간과 같은 척추동물은 산성 물질인 위산을 위 안에서 분비하기 때문에 음식에 있는 세균을 죽일 수 있어 하지만, 보통 곤충은 위산을 분비하지 못해 오염된 음식을 먹으면 쉽게 병에 걸려 죽기도 해. 플로리다 목수 개미는 포름산을 직접 먹음으로써 위장의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뤄지는 시술이에요. 복강경은 배에 작은 구멍을 내고, 구멍을 통해 내시경으로 배 안을 보며 검사 및 치료를 하는 방법이지요. 저는 복강경 시술 경험이 없었습니다. 마침 경상대학교 수의과학대에서 수업이 열려 복강경 시술법을 배웠어요. 2015년 12월 첫 시도, 그리고 실패 드디어 인공수정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어, 여긴가 보다!”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악어와 해적 조심’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지나 작은 섬으로 걸어 들어갔어요. 오늘의 목적지는 네버랜드! 네버랜드의 주 ... 탐정에게 물었어요.“그럼…, 저는 어떻게 해야 깊이 잘 수 있을까요?”“어떡하긴요! 안대를 끼고 자면 되죠 ... ...
- [과학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기차, 하이퍼루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하이퍼루프의 첫 유인 주행 시험에 성공했어요.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터널 안에서 객차가 자기장의 힘으로 추진력을 얻고 지면에 살짝 떠 마찰을 최소화 한 상태로 빠르게 이동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에요. 하이퍼루프가 상용화되면 탑승객은 시속 1000km보다 빠르게 이동해 서울에서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황, 수소를 섞은 화합물로 초전도체를 만들었어요. 탄소에 황 가루를 섞은 뒤, 수소 기체 안에서 대기압의 4만 배에 달하는 강한 압력을 가하며 레이저를 쪼였죠. 그러자 세 물질이 합성되어 초전도체가 만들어진 거예요. 이후 다양한 세기의 압력과 온도 조건에서 초전도체의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찾을 수 없었죠.이에 CERN에서 물리학을 연구하던 팀 버너스리 연구원은 1989년 3월 www를 고안했어요. 여러 컴퓨터에 나뉜 정보에 각각 주소를 지정해 쉽게 검색하도록 한 거였지요. 도서관이 각 책에 위치 코드를 달아 분류하는 것처럼요. www를 이용하면 CERN 밖에 있는 물리학자들도 정보를 빠르게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단조의 서정적인 음악이 완성된답니다. ● 인터뷰 "인공지능과 함께 예술작품을!"_안창욱(G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Q인공지능 작곡가 AI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평소 음악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런데 곡을 만드는 건 매우 어려웠죠. 저는 작곡을 도와줄 인공지능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