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유학일기] 한 번에 최대 40권 대여,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과일 등도 판다. 나는 외식을 거의 하지 않지만, 라이브러리 카페의 아침 식사만큼은 예외다. 베이컨이나 달걀 등의 메뉴들로 구성돼 있는데, 저렴하고 맛있다. 아주 배부르게 먹어도 2파운드(약 3000원) 정도면 충분하다. 라이브러리 카페는 도서관 건물 내부에 있지만 학교 소유가 아니라서 학생증이 ... ...
- [오일러 프로젝트] 피보나치 수열 속 1000자리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있는 구조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또 많은 식물이 피보나치 수만큼의 꽃잎을 가진다. 그 예로 흰색 카라는 1장, 꽃기린은 2장, 백합은 3장, 무궁화는 5장, 코스모스는 8장, 금잔화는 13장, 과꽃은 21장, 데이지는 34장, 그리고 쑥부쟁이는 55장 또는 89장의 꽃잎을 가진다. 소라나 고둥의 딱딱한 껍데기에 ...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원자의 상대적 질량을 표시한다.*에카(eka) : ‘1’이라는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멘델레예프는 특정 원소의 한 칸 밑에 오는 미발견 원소에 ‘에카’를 붙여 임시 이름을 만들었다 ... ...
- 독립운동의 비밀 병기, 암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글씨를 나타나게 하는 방법이에요. 과학 시간에 레몬즙으로 비밀 편지를 써 본 적 있을 거예요. 레몬에 포함된 시트르산이 열과 만나면 종이의 수분을 빼앗아 종이에 새까만 탄소만 남으면 검은 글씨가 드러나요. 이 밖에도 오줌, 우유, 식초와 페놀프탈레인, 소다수를 이용해 보이지 않는 글씨를 쓸 ...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많지요. 현재 인공지능은 하나의 목적만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인간처럼 예상하지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대응하는 임기응변 능력은 갖추지 못했습니다. 아직 연구해야 할 것들이 많은 셈입니다. 물론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지능 기술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냈습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인공지능은 수학적 추론 능력이 약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팀은 1을 하나씩 늘리면서 더한 값을 계산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1이 6개로 늘어날 때까지는 정답을 잘 맞히더니, 7개가 되자 엉뚱한 답인 6을 내놓았습니다. 사람은 1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영상, 신호 등을 기본 조각으로 분리해 불필요한 부분을 없앤 뒤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진을 이루는 픽셀 중 원본을 크게 훼손하지 않을 만큼만 불필요한 픽셀을 제거하면,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허블 망원경이 찍은 사진이나 의료 사진 압축, ... ...
- 최고의 데이터 요리사는 누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어떻게 연구했는지, 결론이 무엇인지 도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예상외의 사실이나 시사점을 정리해 포스터에 담으면 됩니다!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심사에서 주로 보는 건 참신함과 창의성이에요. 2018년에 치러진 제20회 ...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들러야만 하는 교실들을 점으로, 교실 사이의 길을 선으로 연결하면 회로 모양 그래프가 나와요. 이때 어느 한 점에서 출발해 각 점을 한 번씩만 들르면서 처 ... 수 있었을 텐데 사서 고생을 하고 있네요. 그래도 먼저 사과하기 전까진 도와주지 않을 거예요! 참고자료문양세 ‘Algorithm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아닌 주름 형태의 쌍곡면 표면은 적은 에너지로 모양을 바꾸기에 효율적인 구조였던 거예요. 이로써 많은 생물이 주름진 곡면을 가진 이유도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됐죠.벤카타라마니는 “수많은 물질과 시스템이 있지만 내가 아는 한 모두 에너지에 크게 좌우된다”며, 주름 모양의 곡면이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