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신동’으로 불렸던 미국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원소가 137번까지만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러시아 출신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카잔은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55번이 마지막 원소가 될 것이라고 2009년 주장한 바 있다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식으로 에너지를 대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 계산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멈춰있는 60kg의 사람을 초속 1m로 밀어내기 위한 운동량은 이 둘을 곱한 60kg·m/s가 필요하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광자가 지닌 에너지로 60kg·m/s만큼의 충격량을 가할 수 있다면, 빛으로 사람을 밀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경험 vs 중학교 논리초등학교 수학은 ‘경험’을 바탕으로 연산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푸딩 7개가 있었는데 태형이가 4개 먹었다면 남은 푸딩은 몇 개일까요?’라는 식이죠. 그래서 분수, 소수 등의 유리수도 ‘모눈종이 9칸 중에서 2칸을 색칠한 숫자’, ‘막대기를 7등분하고 3칸을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단 2시간 만에 답장이 돌아왔고, 그렇게 최 교사의 지오지브라 한글화 작업이 시작됐다. 예를 들어 지오지브라 프로그램에 ‘적분’이라는 단어를 쓰면 자동으로 번역해 적분 기호가 나타나는 식이다. 만약 애니메이션을 돌린 뒤, 조금 자세히 보고 싶을 때 ‘천천히 보기’라고 입력하면 속도도 ... ...
- Part 1. 동물 축제, 무엇이 문제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군청 등 지방자치단체가 주최하는 행사로, 해당 지역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시작됐어요. 예를 들어, 가장 성공적인 지역 축제로 꼽히는 강원도 화천군의 ‘얼음나라화천 산천어축제’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2003년 처음 열렸어요. 1회부터 22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며 인기를 얻었고, 2019년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매해 여름 열리며, 울산의 포경 역사를 비롯한 고래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예를 들어 고래박물관에는 주로 장생포에 남아있던 포경 유물 등이 전시돼 있으며,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고래를 사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점을 들며 울산의 고래잡이가 신석기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담지 않은 줄무늬를 전략적으로 배치해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1986년 프랑스 파리 팔레 루아얄(Palais-Royal)에 설치한 260개의 줄무늬 기둥이다. 궁전이라는 고풍스럽고 엄숙한 공간에 짧고 긴 줄무늬 기둥을 규칙적으로 배열했다. 당시에는 궁전에 흑백 줄무늬 원기둥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많이 받고 우울해 하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학교에서 만난 한 학생을 예로 들었다. 어느 날 그 학생의 표정이 침울하고 근심에 차 있어서 “뭐가 그렇게 걱정이니?”라고 물었더니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없을 것 같아서 걱정이에요”라고 대답을 했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듣고 나 역시 할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걸리는 경로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도를 펴고, 직접 경로를 짜봤습니다. 예로 대구 지역의 경로를 한번 볼까요? 대구에서는 π-데이 행사를 하는 ➊안심중학교와 ➍덕원고등학교를 각각 오전 9시 55분과 낮 12시까지 도착해야 합니다. 그래서 출발지를 안심중학교로 정하고 경로를 짜기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지요. 통계적 추론은 반드시 확률에 기반한 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한국 사람의 키와 나이 데이터를 이용해 나이가 1살 많으면 키는 얼마나 큰지 알아내기 위해 데이터의 분포와 가장 비슷한 비례 관계, 즉 선형 모형을 찾는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죠. 현대 사회를 흔히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