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AI)으로 분석해서 시민들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다. 그는 긴급 구조 상황을 예로 들었다. 일반 도시에서는 112에 전화를 걸면 관할경찰서로 연락이 가지만, 스마트시티에서는 교통의 흐름을 고려해 경찰차가 가장 빠르게 출동할 수 있는 경찰서와 연결할 수 있다. 또 도시 전체의 ...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부분집합 Si들의 합집합이 전체집합이 되면 된답니다.찾았나요? 정답은 2번과 6번 자리예요. S2={1, 2, 3, 4, 8}, S6={5, 6, 7, 9, 10}를 고르면 기지를 2개만 지어서 모든 몬스터 출몰지를 감시할 수 있지요. 이렇게 점이 조금만 있을 때는 일일이 부분집합의 조합을 따져보면 정확한 답을 찾을 수 있어요. 하지만 ...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가로수가 늘어져 서 있는 길처럼 시점이 하나로 모여드는 그림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게 바로 1점 투시법을 이용해 그린 겁니다. 2점 투시법과 3점 투시법을 이용할수록 공간의 입체감을 더욱 살릴 수 있지요.특히 1점 투시법은 그림 혹은 화면을 보는 사람의 시선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또 상자 속의 고양이도 죽음과 삶이 중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거예요. 덩치가 큰 고양이라고 해서 두 상태가 겹칠 수 없다고 단정할 필요가 없답니다. 또, 고양이가 살아 있으면서 죽어 있는 게 불가능하다는 주장은 독극물 병이 깨진 상태이면서 안 깨진 상태일 수 없다는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신동’으로 불렸던 미국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원소가 137번까지만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러시아 출신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카잔은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55번이 마지막 원소가 될 것이라고 2009년 주장한 바 있다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식으로 에너지를 대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 계산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멈춰있는 60kg의 사람을 초속 1m로 밀어내기 위한 운동량은 이 둘을 곱한 60kg·m/s가 필요하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광자가 지닌 에너지로 60kg·m/s만큼의 충격량을 가할 수 있다면, 빛으로 사람을 밀 ... ...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s개 정수를 각각 k제곱해서 더한 값으로 모든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는지 묻는 문제예요. 예를 들어 s와 k가 3인 경우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a³+b³+C³=n을 만족하는 정수해 a, b, c를 찾는 문제라고 할 수 있죠. 최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수학과 앤드루 부커 연구원이 n=33인 경우의 해를 찾았습니다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걸리는 경로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도를 펴고, 직접 경로를 짜봤습니다. 예로 대구 지역의 경로를 한번 볼까요? 대구에서는 π-데이 행사를 하는 ➊안심중학교와 ➍덕원고등학교를 각각 오전 9시 55분과 낮 12시까지 도착해야 합니다. 그래서 출발지를 안심중학교로 정하고 경로를 짜기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경험 vs 중학교 논리초등학교 수학은 ‘경험’을 바탕으로 연산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푸딩 7개가 있었는데 태형이가 4개 먹었다면 남은 푸딩은 몇 개일까요?’라는 식이죠. 그래서 분수, 소수 등의 유리수도 ‘모눈종이 9칸 중에서 2칸을 색칠한 숫자’, ‘막대기를 7등분하고 3칸을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예일대로 유학을 갔습니다. 로바스의 밑에서 공부하며 박사학위를 받았지요. 지금 부는 예일대 교수입니다.2010년 프랑스 수학자 장 부르갱과 부, 부의 지도 학생 필립 우드 이렇게 3명은 0.70711n으로 낮추는 데 성공합니다. 참고로 부르갱은 1994년 필즈상을 받은 프랑스 수학자인데, 안타깝게도 2018년 1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