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예선을 거쳐 모두 7개 팀이 출전 자격을 받았다. 세계 로봇공학계의 ‘종결자’들인 셈이다.7개 팀은 DARPA에서 180만 달러(약 21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그동안 재난구조로봇을 개발해 왔다. 6월 중순 DARPA에서 중간점검을 받았는데, 7월 11일 발표해 2팀을 떨어뜨린다. 살아남은 5개 팀은 120만 달러(13억 ... ...
-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비법?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그에 맞춰 매력적인 태도를 보였다. 남성은 자신이 사진에서 본 매력적인 여성을 만든 셈이다! 심리학은 사람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어떤 일에 대한 평가도 바꿀 수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대한민국의 강과 국민의 마음을 헤집었던 4대강 사업에 대한 후폭풍이 거세다. 뒤늦게 감사원이 ...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것이 꿈이다. 최 군에게 항공로봇비행단은 아마추어에서 프로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인 셈이다.3학년 홍영기 학생은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곳까지 갈 수 있는 소형 무인 비행기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궁극의 무인 비행기를 만드는 것이 꿈이다. 이를 위해 비행기술을 익히는 것은 물론 비행기에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2 퍼즐도 뭉치면 쉽다앞서 소개한 개미의 수 세기와 간단한 셈 능력은 기본적인 수학 능력이다. 물론 우리 인간이 보기에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엄밀히 말해 수 세기보다는 거리나 양을 측정하는 능력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개미 한 마리가 아니라 개미 집단이 되면 그 수준은 크게 올라간다. ...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들면 스플라인 함수가 된다. 즉, 여러 개의 고차다항식 곡선을 부드럽게 이어나가는 셈이다. 이때 최고차항의 차수가 높을수록 곡선은 둥근 모양이 된다. 스플라인 함수는 자동차 디자인을 모델링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보통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는 먼저 클레이(점토)로 모형을 만들어 본다.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그림을 말한다. 다시 말해 3차원 입체도형은 모두 2차원 평면도형에 기초를 두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평면과 공간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제대로 된 전개도를 그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입체도형은 전개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한 ...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그건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터널입니다. 그런 엄청난 일을 북한은 아무도 몰래 해낸 셈이지요. 강이나 지하철, 하수구 같은 지하 공간을 모두 피해서 서울 시내까지 들어온 것도 참 대단합니다. 이 정도 기술력이라면 당장 토목 공사로 세계에 진출해 돈을 벌 수도 있을 텐데, 언제 쓸지도 모르는 ... ...
- PART 2. 을의 슬픈 감정노동, 상처입은 좌뇌 자극하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루소의 ‘생각이 인간을 만들어간다면 감정은 인간을 이끌어간다’는 주장이 입증된 셈이다.예를 들어, 위험에 처했을 때 내가 무엇 때문에 위험에 처했는지, 어떻게 해야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가 먼저 생각나지 않는다. 오직 그 순간에는 온몸이 차가워지고 심장이 빨리 뛰고 머릿속이 하얘질 ... ...
- [6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4월에도 두 건이 일어났는데, 채 한 달도 되지 않아 거의 비슷한 사고가 일어난 셈이다. 더욱 걱정스럽게도, 이러한 사고들은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그렇다면 왜, 어떻게 이런 사고들이 발생하는 것일까?가축분뇨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여러 가스와 휘발성 물질들이 생성된다. 분뇨는 ...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원숭이는 도구를 사용할 뿐 아니라 물건의 양을 인식하고 구별할 줄 아는 똑똑한 동물이다. 하지만 원숭이가 어떤 방식으로 사물의 양을 구별하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로체스터대 인지과학과 제시카 캔틀런 교수 연구팀이 원숭이의 수학적 인지 능력에 대한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