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크고 위로 곧게 선 이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람다운 머리와 얼굴이 화석으로 확인된
셈
입니다.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 손색이 없었죠. 이제 ‘호모 하빌리스’는 명실상부한 최초의 호모 속으로 인정 받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이후에도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얼룩은 나중에 우주의 거대한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우주의 역사를 담은 ‘지문’인
셈
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이론을 관측으로 검증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온갖 복사에너지가 넘쳐나는 지구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학자들은 우주로 섬세한 탐사선을 보내 이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직장인들은 휴식과 수면을 위해 써야 할 2시간 가량의 시간을 온전히 야근에양보하는
셈
이다. 밤샘 공부하면 정말 시험 잘 볼까야근 때문에 적게 자면 신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수면 부족이 기억력을 떨어뜨리고 심장마비 위험을 가중시키며, 전염병에 감염될 확률을 높이고 비만을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냄새도 짙게 남아 있어, 그 길을 처음 다니는 개미들에게도 최단거리를 알려 주는
셈
이 된다.1992년 일본의 수학자 마르코 도리고는 수학을 이용해 개미들의 이러한 습성을 알고리즘으로 만들었다. 이 알고리즘의 목표는 ‘최단거리를 찾는 것’이다.도리고는 가장 먼저 미분을 이용해 페로몬이 ... ...
[수학뉴스] 트위터로 알아본 행복, 집에서 멀어질수록 행복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포함하는 글의 개수가 많았다. 집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행복하다는 결론을 얻은
셈
이다. 연구팀은 “기존 행복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회 경제적인 활동을 통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이번 연구는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의 행복 정도를 새롭게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 ...
숫사자는 장식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한다는 것은 이미 여러 차례 가설로 제기 되었다”며 “이번 연구는 그 가설을 확인한
셈
”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동물행동학’ 3월 18일자에 실렸다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루에 10여m 정도 움직여보면서 점점 거리를 늘렸다. 먼 길을 떠나는 첫 발걸음인
셈
이었다.큐리오시티의 첫 목표는 착륙 지점에서 400m 떨어진 ‘글레넬그’라는 곳이었다. 세가지 지형이 교차하는 곳으로, 글레넬그(Glenelg)라는 이름을 붙인 데는 재미있는 이유가 있다. NASA의 과학자들은 큐리오시티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년 후부터 맹아간 경쟁을 시작해 일부는 아교목층에 도달한다. 3년 만에 2m가 넘게 자라는
셈
이다. 불의 피해를 입지 않은 뿌리 부분의 양분흡수력이 크기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결국에는 본래 소나무가 우세했다고 하더라도 교란과 천이를 거쳐 소나무숲과 참나무숲이 모자이크처럼 섞여있는 숲으로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행위를 일컫는다. 즉 사운딩 로켓은 ‘측정을 하기 위해 하늘로 던진 로켓’이라는 뜻인
셈
이다. 대개 1단이나 2단으로 구성된 엔진을 쓴다. 고체연료를 쓰는 엔진은 발사 준비에 시간이 덜 걸리지만 한번 점화하면 그 뒤로 통제할 수 없는 반면, 액체연료 엔진은 연소 도중 통제가 가능하지만 연료가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상당히 유사했어요. 실시간으로 독감 바이러스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알 수 있게 된
셈
이죠.데이터 과학이 의학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탕은 무엇인가요.인간 게놈을 분석하면 데이터 용량이 약 5테라바이트(TB)가 나옵니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데이터 생산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했습니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