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크고 위로 곧게 선 이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람다운 머리와 얼굴이 화석으로 확인된
셈
입니다.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 손색이 없었죠. 이제 ‘호모 하빌리스’는 명실상부한 최초의 호모 속으로 인정 받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이후에도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설비용량은 1기가와트다. 즉, 아이언맨은 가슴에 울진 원자로를 최소 3기는 박고 있는
셈
이다.이런 장치를 현실에서 볼 수 있을까? 소형 아크 원자로는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핵융합 에너지를 얻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면 엄청난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기다리지 않아도 뭔가 얻을 수 있지만, 기다리면 더 많이(2배) 얻을 수 있다”인
셈
이다. 이 실험에서는 어린이의 약 3분의 1이 15분을 견뎌 마시멜로를 두 개 먹었다. 이 실험은 인종이나 나라에 상관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이 실험이 여기에서 그쳤다면 이렇게 유명해지지 않았을 것이다. 미셸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얼룩은 나중에 우주의 거대한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우주의 역사를 담은 ‘지문’인
셈
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 이론을 관측으로 검증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온갖 복사에너지가 넘쳐나는 지구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학자들은 우주로 섬세한 탐사선을 보내 이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냄새도 짙게 남아 있어, 그 길을 처음 다니는 개미들에게도 최단거리를 알려 주는
셈
이 된다.1992년 일본의 수학자 마르코 도리고는 수학을 이용해 개미들의 이러한 습성을 알고리즘으로 만들었다. 이 알고리즘의 목표는 ‘최단거리를 찾는 것’이다.도리고는 가장 먼저 미분을 이용해 페로몬이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0만 만들어지고 80이 열 에너지로 바뀌는 거지. 에너지 효율이 20%밖에 안되는
셈
이야. 영구기관은 에너지 효율이 100%야. 이게 얼마나 대단한 거냐면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에너지 효율을 50%도 못 만들어. 바꿔 말하면 영구기관을 개발하는 사람은 돈과 명예를 동시에 얻는 ‘대박’을 낼 수 있는 거야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루에 10여m 정도 움직여보면서 점점 거리를 늘렸다. 먼 길을 떠나는 첫 발걸음인
셈
이었다.큐리오시티의 첫 목표는 착륙 지점에서 400m 떨어진 ‘글레넬그’라는 곳이었다. 세가지 지형이 교차하는 곳으로, 글레넬그(Glenelg)라는 이름을 붙인 데는 재미있는 이유가 있다. NASA의 과학자들은 큐리오시티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호버그 교수와의 공동 연구 결과가 실제로도 맞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셈
이다. 사자촌충, 인류 역사 새로 밝힐까이를 바탕으로 어떤 연구를 할 수 있을까. 인류 진화와 이주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 아시아 일부와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아시아촌충과 민촌충 연구 결과를 보면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받아들여야 할지를 두고 논란에 휩싸여 있었습니다. 여기에 루시 연구가 기름을 부은
셈
입니다.인류학자들은 그 뒤로도 약 20년 동안이나 머리가 먼저인지 다리가 먼저인지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인간다움’이 머리 끝이 아닌 발끝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그토록 힘들었던 ... ...
무한 원숭이 정리 원숭이가 셰익스피어 희곡을 쓴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입력한다. 원숭이가 하루 8시간 노동을 한다고 하면 하루에 8×360=2880번 네 글자를 친
셈
이다. 따라서 456,796을 2880으로 나눠 주면 love를 치기까지 걸리는 최대 날 수가 계산된다. 바로 159일이다. 만약 원숭이 여러 마리를 이용해 ‘I love you.’를 한 번에 치려면 몇 마리가 필요할까? 이를 위해서는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