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미술, 영상, 음악 전공자들이 함께 인포그래픽을 만들어요. 일종의 융합 학문인 셈이죠.그런데 인포그래픽이라도 너무 복잡하거나 알아보기 어렵다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잖아요? 그렇다면 좋은 인포그래픽이란 무엇일까요?크게 세 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뤄야 해요. 유익한 정보와 ... ...
-
-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의 2%보다 월등히 높았다. 쓰레기 DNA가 거의 없이, 유전자로 꽉 차 있는 ‘알짜’ DNA인 셈이다.연구팀은 이런 현상이 열대통발기바가 진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불필요한 DNA를 줄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헤레라-에스트렐라 박사는 “이 식물은 필수적이지 않은 DNA(비번역 DNA)는 제거하고, 다른 ...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며,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난자를 쓰지 않는다. 양쪽의 장점을 가진 셈이다. 게다가 복제배아줄기세포에 비해 이미 기술이 널리 보급돼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IPSc를 만들기 위해 세포 속에 넣어야 하는 유전자 중에는 암을 일으키는 성질을 지닌 것이 많다. 유전자 변이가 일어날 ... ...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원숭이는 도구를 사용할 뿐 아니라 물건의 양을 인식하고 구별할 줄 아는 똑똑한 동물이다. 하지만 원숭이가 어떤 방식으로 사물의 양을 구별하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로체스터대 인지과학과 제시카 캔틀런 교수 연구팀이 원숭이의 수학적 인지 능력에 대한 ... ...
-
-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정기적으로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훈련도 하고 있는 셈이다.수학 UCC에 따뜻한 감성을 담다!최근에는 토론 수업에서 PPT 외에도 동아리원들이 스스로 제작하고 편집한 영상을 발표 자료로 이용하고 있다. 각 모둠별로 촬영은 물론, 스스로 연기자가 돼 보기도 한다. ...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기다리지 않아도 뭔가 얻을 수 있지만, 기다리면 더 많이(2배) 얻을 수 있다”인 셈이다. 이 실험에서는 어린이의 약 3분의 1이 15분을 견뎌 마시멜로를 두 개 먹었다. 이 실험은 인종이나 나라에 상관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이 실험이 여기에서 그쳤다면 이렇게 유명해지지 않았을 것이다. 미셸 ... ...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크고 위로 곧게 선 이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람다운 머리와 얼굴이 화석으로 확인된 셈입니다.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 손색이 없었죠. 이제 ‘호모 하빌리스’는 명실상부한 최초의 호모 속으로 인정 받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이후에도 ...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설비용량은 1기가와트다. 즉, 아이언맨은 가슴에 울진 원자로를 최소 3기는 박고 있는 셈이다.이런 장치를 현실에서 볼 수 있을까? 소형 아크 원자로는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핵융합 에너지를 얻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수소와 같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면 엄청난 ... ...
-
- [수학뉴스] 트위터로 알아본 행복, 집에서 멀어질수록 행복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포함하는 글의 개수가 많았다. 집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행복하다는 결론을 얻은 셈이다. 연구팀은 “기존 행복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회 경제적인 활동을 통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이번 연구는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의 행복 정도를 새롭게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냄새도 짙게 남아 있어, 그 길을 처음 다니는 개미들에게도 최단거리를 알려 주는 셈이 된다.1992년 일본의 수학자 마르코 도리고는 수학을 이용해 개미들의 이러한 습성을 알고리즘으로 만들었다. 이 알고리즘의 목표는 ‘최단거리를 찾는 것’이다.도리고는 가장 먼저 미분을 이용해 페로몬이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