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알고리듬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연산 횟수를 ‘함수’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위 상황에서 단순탐색법은 100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최대 100번이 걸리므로 n개의 데이터일 때의 실행 시간은 n, 이진탐색법은 100개의 데이터일 때 최대 7번이 걸리므로 n개일 때는 log₂n이 됩니다. 데이터 크기가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00℃를 넘었다는 걸 뜻해요. 그런데 프라이팬의 온도가 200℃에 다다르면 프라이팬 위의 물은 구슬처럼 굴러다닌답니다. 프라이팬이 너무 뜨거우면 팬과 접촉한 물의 표면이 순간적으로 끓으면서 물과 프라이팬 사이에 ‘증기막’을 만들어요. 이 증기막이 물방울을 팬으로부터 밀어내면 물방울은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런 이유로 그동안 여러 국가가 PVC 포장재 사용을 규제하는 조항을 마련했다. 1991년 스위스를 시작으로 현재 벨기에,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독일, 체코, 일본 등이 PVC 사용을 직·간접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유 책임연구원은 “PVC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면서 이를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의한 사망으로 사건을 종결했다. 정인남. 충남대 과학수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북지방경찰청 검시조사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중독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복어의 독인 테트로도톡신과 관련된 국내 변사사건의 특성 등에 대한 논문들을 집필했다. innam1965@police.go.kr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신경 손상으로 인해 의사 표현이 어렵거나 청력을 잃은 환자를 위한 장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뇌-컴퓨터 접속기술의 전망은 어떤가요?뇌-컴퓨터 접속기술은 수많은 뇌 신호와 뇌 영상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만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 ...
-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특별한 공간에서 ‘등주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문제입니다. 등주 부등식은 다양체 위의 폐곡선의 둘레와 폐곡선이 만드는 면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부등식으로, 이 부등식을 이용하면 어떤 곡선의 둘레가 일정할 때 면적을 가장 크게 만드는 모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둘레가 ... ...
- 슈뢰딩거 캣의 이유있는 외출, 신비한 양자컴퓨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옹’안녕, 난 잠시도 입을 쉬지 않는 고양이 혼령 슈뢰딩거 캣이야. 샹들리에 위에서 뭘 하고 있냐고? 이건 샹들리에가 아니라 내가 깃들어있던 ‘양자컴퓨터’야. 요즘 전세계가 양자컴퓨터로 떠들썩해서 한 마디 해주려고 튀어나왔지. 왜 양자컴퓨터에 깃들어 있었는지 궁금한 눈빛이군. 차차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셨는데요, 주로 어떤 일을 하셨나요?고등과학원에서는 창의적인 연구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학문 사이에 협력을 지원하고 있어요. 그래서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죠. 저는 그 중에서도 매터리얼리티 연구단에 있었어요. 당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토론을 자주 했습니다. 수학자,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갇히면서 미라로 보존되었지요. 이후 5300년이 지나,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빙하 위에 쌓였습니다. 어두운 색깔의 먼지가 햇볕을 흡수하면서 얼음이 녹았고, 마침내 외치가 두 독일인 등반객 앞에 모습을 드러난 것이지요. 슬프지만, 이런 사고 때문에 외치의 몸은 빙하 속에서 온전히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독자 여러분도 그랬기를 기대한다. 이성수. 서울대에서 전자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반도체 설계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설계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숭실대 IT대학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이며 과학소설가,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 컴퓨터통신망 연재 과학소설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