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술형 완전정복]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00=-15000(x²-14x-120)=-15000(x-7)²+2535000 -15000<0이므로 이차함수 y=-15000(x-7)²+2535000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x=7일 때 y=2535000으로 최대입니다. 따라서 입장권 가격이 10000-500X7=6500원일 때 수익이 2,535,000원으로 최대입니다. 도전문제1. 어느 도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것과 같아요. 다만 이때 왼쪽 가장자리나 오른쪽 가장자리에서 리스트의 첨자가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려고 max(0, y-1)이나 min(x-1, y) 같은 식으로 보호해요. 이런점을 생각한 다음에 한번 스스로 코드를 만들어보고, 정답은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 확인해보세요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넘는 27g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요. 신얀 덩 교수는 “그동안 가벼운 로봇은 공기가 물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받지 못해 비행이 불안정했는데,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벌새의 비행법을 이용해 안정적이다”며, “벌새 로봇은 물체와 접촉하면서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 ...
- [수학뉴스] 드론과 적분으로 고래 무게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86마리를 드론으로 여러 각도에서 촬영했습니다. 그런 뒤 몸을 곧게 편 고래를 위에서 찍은 사진으로 고래의 전체 길이와 너비를 측정했습니다. 또 옆으로 누웠을 때 찍은 사진으로 두께를 측정해 부피를 계산했습니다. 이때 사용한 구분구적법은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잘게 쪼갠 뒤 그것을 모두 더해 ... ...
- [과학뉴스] WHO “한국 청소년 근시 세계 최악 수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거주하는 청소년의 약 97%가 근시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위인 중국 청소년의 근시 발병률(67%)보다도 훨씬 높다. WHO는 보고서에서 “시력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절반은 이전에 예방할 수 있었거나, 지금부터라도 진행을 늦출 수 있다”며 “국가마다 자국의 시력 현황을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금개구리를 포획하기 위해 수생식물로 둘러싸인 연못을 조사하고 있다.그동안 멸종위기 어류종 복원은 복원된 어류를 인공양어장에서 계속 기르면서 서식지가 확보되면 방사했다. 하지만 양어장 유지비용이 들고, 복원된 개체가 기상이변에 취약해 어려움이 있었다. 그에 반해 줄기세포 복원기술은 ... ...
- 엇, 이게 죽어? ‘랙’ 없는 온라인 게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변수는 레이턴시뿐이었다. 그래서 제각각인 유저들의 레이턴시를 일률적으로 맞추기 위해 게임 시간을 건드린 것이다. 이 교수는 “게임 시계를 되돌려 보정하다보면 유저들의 게임 흐름을 방해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이에 이 교수팀은 유저들의 레이턴시 대신 그간 고정된 수치로 여겼던 ...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확인할 수 있는지 실제 아이스크림 판매량 데이터를 가지고 살펴보겠습니다. 위 표는 영국 한 아이스크림 회사가 공개한 기온별 판매량이에요. 수를 보면 대략 평균 기온이 높을 때 판매량이 좀 더 크다는 느낌이 들죠? 이제 이 정보를 가지고 그래프를 그려 본격적인 상관계수 구하는 법을 알아보죠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키우는 새에게도 주기적인 목욕이 필요해요. 대부분의 종은 분무기를 이용해 깃털 위로 물을 뿌려 주면 돼요. 깃털의 먼지가 씻겨 내려갈 정도로 충분히 뿌려 주세요. 목욕 후, 햇볕에 말려 주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쩔 수 없다면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해도 돼요. 단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30cm 이상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실도 알아냈다. 울프 교수는 “발이 부드러운 모래 속으로 깊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빨리 달리는 것”이라며 “생리적 한계에 가까운 근육 수축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42/jeb.19870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