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제기됐다. 그로부터 1년 뒤 중국은 이때의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벼
의 게놈 지도를 독자적으로 발표하게 됐다.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3만여종 한국인 유전자 발굴그러나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법. 국내에서도 인간 게놈 연구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바로 ... ...
3. 버려진 PC와 휴대폰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넣고 잘게 부수는 과정이다. 충격형 해머는 필자의 연구진이 설계한 특수한 장치로 마치
벼
의 낱알을 분리하는 탈곡기를 세워 놓은 듯한 모습이다. 기다란 원통에 자그마한 망치가 수없이 달려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PCBs를 잘게 부수는 장치다.이 장치를 거친 조각 PCBs는 분쇄 장치를 통해 더 잘게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폭풍보다 수마보다 위대한 삶의 의지는 다시 일어나 젖은 가재도구를 씻어내고, 쓰러진
벼
를 세우게 했습니다. 이제 하늘이 조금만 도와주면 마지막 과일이 익어갈 것입니다.연례행사처럼 이어지는 자연재해를 보노라면 좀더 빨리 태풍의 길을, 비구름의 양을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드러났다.최근 저온처리 작업을 지베렐린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지베렐린은
벼
의 키다리병균에 의해 생산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 단 몇시간 동안 처리해 야생화의 꽃을 피우게 하는 방법을 실용화한 것이다. 또한 식물은 밤과 낮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꽃을 일찍 피게 하거나 늦게 ... ...
1. 한반도에 숨겨진 희귀약초 캐낸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자생식물이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영양을 제공하는 중요한 먹거리로 이용됐다는 점이다.
벼
라는 작물이 대규모로 경작되면서 주식이 된 현재에도 자생식물은 변함없이 이런 목적으로 선택되고 있다. 우리 식탁에 나물이란 이름으로 오르는 종류들이다.자생식물은 영양이나 기호뿐 아니라 ... ...
4. 천연 항암물질 찾아내는 생명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완료돼 약 2만5천종의 유전자가 확인됐다. 2002년 중반에는 외떡잎식물을 대표하는
벼
게놈프로젝트가 1차로 완성돼 3만5천-5만종의 유전자 존재가 밝혀졌다. 식물 유전자가 이렇게 통째로 밝혀지는 상황에서 유용유전자 발굴이 중요하다고 하면, 무슨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벼
유전자의 50%만이 애기장대풀에 상동유전자가 있다. 이는 좀더 진화된 단계에 있는
벼
가 새로운 유전자들을 많이 획득했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지만, 전위인자(transposable element)들이 빠르게 진화함으로써 마치 새로운 유전자처럼 인식됐을 수도 있다. 세포 환경에 따라 단백질 합성 ... ...
세계 종자시장에서 우위 차지하기 위한 출발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제는 매년 1만개의 유전자 기능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벼
유전자 연구에 활력이 일어날 것이라고 최단장은 말한다.한편 최단장은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서 발굴한 유전자가 국제 특허를 얻는 것이 우리가 안고 있는 과제”라고 말한다. 현재 해외에서 국내의 발굴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이들 유전자를 이용한다는 계획이다.한편 사이언스에 두 연구팀의
벼
게놈 해독 결과가 발표된 뒤 정보의 공개를 둘러싼 논쟁이 유발되고 있다.중국과 미국 연구팀이 국제적 비영리 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진뱅크’(GenBank)에 게놈 해독 결과를 공개한 반면, 신젠타는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자체 ‘어셈블러’를 만들어야 한다.BGI 연구진들은 인간게놈 해독에 이용된 어셈블러에
벼
게놈의 40%를 차지하는 의미 없는 염기의 반복 부분을 무시하도록 하는 하부 규칙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각 조각들의 염기서열을 이으면서 일어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게놈 해독 시간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