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신목(神木)에서도 흔히 그렇다. 그러나 짐승의 뼈나 가죽들은 신목에 걸리지 않는다.
벼
농사 위주의 농경 마을이라서 볏짚을 왼쪽으로 꼬아서 만든 금줄이 신목에는 필수적으로 걸리는 종교적 상징물이 된다. 북아시아와 한반도의 민속은 고대로 소급할수록 강한 친연성을 보이며, 또한 광대한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검증을 거친 유전자조작 식물이나 동물들이 식량문제를 해결해줄 가능성도 높다. 슈퍼
벼
, 슈퍼밀, 슈퍼옥수수, 슈퍼돼지 등. 게다가 2010년 경에는 화학살충제나 화학비료 대신 인체에 영향이 없는 생물살충제나 생물비료가 등장할 것이다.환경문제도 크게 개선된다. 2006년 경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적절한 자극을 준다는 유리한 점이 있다. 여기에 정착해 목축은 물론 밀, 보리,
벼
등 오래 저장이 가능한 화본과(禾本科)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부의 축적 기회를 늘렸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럼으로써 대규모의 인구가 모여 살 수 있는 도시가 출현하게 된 것이다. 낯선 사람들이 모여 서로 경쟁하며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돌을 헤쳐 보면 의외로 쉽게 화석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런 곳에서 찾을 수 있는 화석은
벼
나 갈대의 잎사귀처럼 생긴 식물화석이다. 대부분은 잎사귀들이 한개 또는 두개 정도 찍혀 있지만, 여러개가 어지럽게 찍혀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체의 잎을 제대로 갖춘 것은 찾기 어렵다.운이 좋으면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
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논쟁유전자변형 작물 역시 전국적인 재배를 서두르고 있는 분위기다. 농림부는 우선
벼
와 고추를 올해 전국 주요 표본지역에서 현장재배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명되면 2000-2001년 중 이들 품종의 씨앗을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하지만 유전자변형 작물이 건강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수 있다.그런데 머리 좋은 사람들이 세균이 가지고 있는 이 ‘질소고정 유전인자’를
벼
나 보리 밀 등 곡식에 집어넣어 질소비료가 필요 없는 식물 만들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하니 세월이 지날수록 희한한 일을 많이 보게 된다.이런 질소고정을 하는 것에는 뿌리혹박테리아 말고도 남조류(Cyanobacteria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잡초의 숨통을 끊기 위해서는 대량의 농약이 동원돼야 한다. 만일 농약에 잘 버티는
벼
를 만든다면 적은 양의 '무차별적' 농약을 뿌려도 잡초만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줄어든다는게 요지다.하지만 배심원들은 이 변론에 대해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 현재의 몇가지 증거만을 ... ...
성인 뇌세포 세계 최초로 시험관 배양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커다란 한계가 느껴집니다."윤리적 문제도 강하게 발생했다. 몇년 전 미국에서는 파킨스
벼
에 걸린 아버지를 구하겠다고 나선 딸의 얘기가 사회적으로 커다란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아버지의 정자를 받아 인공수정을 하고 그 아기로부터 뇌를 추출해 아버지에게 이식하겠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 ...
에너지는 재활용 불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열대우림·사바나·습지대·바다·사막의 다섯 생물권으로 구성돼 있다. 이 곳에서는
벼
·밀·상추·토마토·오이·당근·고구마 등 1백50여 종의 농작물과 돼지·닭·염소 등 4천여 종의 생물 등이 생태계를 이루어 자급자족하며 생활했다. 그러나 탄산가스의 증가와 산소 부족으로 정상적인 생활유지가 ... ...
외래 생물종 각축장 한반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닥치는대로 갉아먹는 흰불나방,
벼
뿌리에 숨어 엄청난 농약을 논에 쏟아붓게 만드는
벼
물바구미, 1992년 중국에서 들여온 벌통에 묻어와 양봉업계에 큰 타격을 입힌 기생성 가시응애 등이 대표적인 예다.가축도 마찬가지다. 1987년 수입돼지에 묻어온 미생물로 인해 발생한 돼지오제스키병은 수많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