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애벌레는 먹이가 되는 식물의 잎을 적당히 이어 집을 만들고 그속에 사는 습성이 있다.
벼
과식물을 이용하는 애벌레들은 가늘고 긴 잎을 둥글게 말아서 집을 만든다. 둥근 마과 식물의 잎사귀를 먹고사는 왕자팔랑나비의 애벌레는 알에서 부화되자마자 잎사귀를 부채꼴로 오려내기 시작한다. 이때 ... ...
등검은 메뚜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등검은메뚜기는 메뚜기목 메뚜기과 등검은메뚜기(Eyperpocnemidini)에 속하는 곤충이다. 복안(複眼)에 가느다란 세로줄이 비슷한 종류와 구분하는 키 ... 있다. 월동의 형태는 알. 약간 습기가 있는 잡초의 초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먹이식물은
벼
과식물이며 한반도 전지역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생태계의 균형이 잡히면 논거미농사도 가능성이 많다"고 김주필 박사는 말했다.
벼
한포기 당 몇마리의 논거미가 서식하며 얼마나 해충을 잡아먹는지 과학적으로 분석해볼 계획이다. 이는 지렁이를 사육해 산업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과 일맥상통한다.1년에 1억5천만원 이상 돈을 들여 거미연구소를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증기로 건조한 후 도정하여 만든 '파 보일드 라이스'라는 쌀을 많이 섭취 한다. 이렇게
벼
를 물에 담근 후 증기로 찌는 과정에서 겨층에 있는 영양분 및 비타민 등이 쌀의 내부로 스며든다.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각기병 예방에도 효과를 보인다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진미
벼
일품
벼
등이 아키바레의 밥맛을 훨씬 능가하는 좋은 쌀로 인기가 매우 높다.또
벼
에 많이 발생하는 주요 병과 해충에 모두 강한 볍씨를 육성하여 농약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도 주요한 개량목표다. 다시 말해 병과 해충에 복합저항성을 가진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중심으로 IRRI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가 IRRI의
벼
연구에 기여할 때라고 본다.한국인으로는 안상원박사(INGER)와 임무상박사(농진청 주재관)가 현재 IRRI에 근무하고 있다. IRRI를 학술목적으로 방문하고자 하는 분은 Dr. M.S. Lim, Plant Breeding Unit. IRRI로 연락을 하거 ...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어미와 유전적으로 꼭 닮게 복제를 하는 무성생식으로는 말미잘의 분열과 진디물
벼
룩의 단위생식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보다 훨씬 덜 진화된 원생생물에서는 오히려 유성생식을 하는 종이 많다. 동물에서도 선충(線虫)과 담수어, 사막에 사는 도마뱀 등에서 무성생식의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중 최초의 작품은 한국화학연구소 복성해박사팀이 지난 88년초에 개발한 KRF001이라는
벼
도열병 치료제였다. 곧이어 같은 연구소의 김완주박사팀이 KR10664라는 항생제를 개발하는데 성공, 이제 한국에서도 신물질개발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내외에 알렸다. 퀴놀론계 항생제의 일종인 KR10664는 현재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벌린 GH에 전류가 G에서 H를 향하도록 흘렸다. 그렇게 하면 자유롭게 움직이는 정사각형의
벼
BC가 GH에 될 수 있는한 접근하는 곳까지 회전한다. 2개의 철사 사이에 끄는 힘이 생기는 것은 분명하다. 정사각형의 틀을 1백80도 회전시키면 DE가 GH와 마주 대하려는 반발이 생긴다. 이 실험을 통해 앙페르는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금부터 3천년 전의 쌀이 발견된 바 있다. 이 사실을 근거로 일본 학자들은 한국의
벼
농사가 일본에서 전수된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번 발굴로 그 설이 뒤집어져 참으로 다행스럽다.그런데 탄소(C)로 어떻게 볍씨의 연령을 알아낼 수 있었을까.볍씨의 나이쌀의 화학조성은 녹말, 소량의 단백질,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