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 이유가 도출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는 땅이 비옥하고 비가 때 맞춰 내리기 때문에
벼
농사가 발달했고 밀 보리도 잘되는 편이었다. 흉년이 가끔 들기는 해도 유럽과 같은 그런 혹독한 흉년이 들지는 않았다. 또 목축보다는 논 밭농사가 주였기 때문에 성질이 유순하고 느긋하다. 그래서 굳이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난화현상보다는 메탄에 의한 온실효과가 더 현저하다. 더구나
벼
농사지역에서는 메탄에 의한 온실효과 되먹임 현상이 나타나고 태양광의 반사효과가 낮기 때문에 더욱 많은 복사에너지를 흡수, 그야말로 온실효과가 극성을 부린다.해양은 인간활동에 의해 발생된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 일이다. 중학교 1학년 때 할아버지의 깨진 안경알 하나를 몰래 훔쳐다(당시 안경 값은
벼
두섬 값이었다고 함) 죽대(대나무통)를 이용해 원시적인 망원경을 만들었다 한다. 이를 통해 달분화구를 보고 아름다움에 도취됐던 것이 첫경험. 그 이후 라디오에 잠시 빠졌다가 파일럿의 꿈을 키워나갔다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이다.둘째는 볕이 잘 듣지 않는 응달에서도 잘 자란다는 점이다. 미나리 논은 대개
벼
농사를 하기에는 너무 습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조건이 좋지 않은 논에서도 미나리는 잘 자라며 산이나 나무에 가려 응달진 곳에서도 잘 견딘다.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푸르게 자라는 미나리의 그 인내와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진
벼
가 소개될 것이다. 또 수술이 없는
벼
가 개발돼
벼
의 대량생산에 가능해질 것이다.
벼
의 유정정보의 판독은 광합성의 효과를 높이고, 질소비료의 필요성을 줄여주므로 품종개량의 신기원을 열어 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해충저항성 무 배추들이 개발돼 무공해채소가 우리의 식탁에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높이기 위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실제로 유전공학적으로 조작된 콩 목화
벼
옥수수 토마토 알팔파 등이 1993년부터 2000년까지는 세계작물시장에 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실험실적으로는 병충해와 벌레에 강한 내충성(耐蟲性)작물(토마토 담배 목화 옥수수 등)이 성공적으로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미치는 영향은 클 수밖에 없다. 한 예로 논에는 많은 거미들이 함께 살며 멸구 등
벼
의 해충들을 잡아먹어 이들 해충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렇게 집중적인 농약의 살포는 이들 유익 천적들을 동시에 죽이게 되므로 결국 독한 농약을 쓰지 않고는 해충을 막아낼 수 없는 악순환이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단일 화학물질이 원인임을 밝혀낸 것이다. 그는 곰팡이를 키운 배지의 여과물만을 처리,
벼
와 옥수수 등에서 생장촉진효과를 유도하는데 성공했다.이들의 연구보고가 서구에 알려지면서 미국과 영국의 식물학자들도 지베렐린의 분리와 구조해명작업에 착수했다. 그들은 곰팡이의 배양을 통해 전혀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같이 오래전 화산활동의 결과로 생성된 호수가 있을 뿐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벼
농사를 위주로 하여 관개와 수리 시설이 필수적이었고, 이 때문에 삼한시대 이래로 많은 저수지를 축조했다. 또 지난 30여년 간의 급속한 산업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생활용수 공업용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고,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배추나 상추 등에는 농약을 거의 사용치 않고 있다. 하지만 사과 배 등 대부분의 과일과
벼
농사에는 농약을 많이 쓰고 있는 실정이다.국내에서 무공해식품을 공급하고 있는 업체들 대부분이 자체농장조차 없는 상태다. 대개는 산간지역의 농가와 계약 재배하고 있다. 농촌구조상 한 마을 전체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