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량"(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과학원 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 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1세기 말 전세계 주요 곡물 생산 량이 18.2%나 줄어든다고 추정했지요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인류가 달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산소는 알루미늄을 제련하는 과정에서 얻고, 물과 식량을 지구에서 조달해 쓰는 비용을 계산하는 등 상세하게 도시의 풍경을 그렸지요. 또 달 먼지를 줄이기 위해 건물 밖을 오갈 때 강박적으로 먼지를 씻는 장면까지 아주 상세하게 썼답니다. 과학적 ... ...
- [과학뉴스] 얼린 파리 알을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파리 알을 팝니다?! 최근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미래 식량으로 떠오른 곤충 단백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동애등에’라는 파리목 곤충의 알을 냉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동애등에의 몸은 단백질과 영양이 풍부한 지방으로 가득 차 있어 유망한 단백질 식품으로 ...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해당 난민의 계좌가 열려 물건을 살 수 있지요. 여기에 은행은 관여하지 않아요. 세계식량계획(WFP)은 지난해 ‘블록체인’ 기술을 쓰는 ‘빌딩 블록 프로젝트’를 시작해 매월 은행 수수료 1억 5천만 원을 아끼고 있답니다.원래 은행은 수수료를 받고 누가 누구에게 돈을 얼마나 줬는지 장부를 써서 ... ...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기본 조건을 간단하게 정리한 것으로, ‘사람은 온도가 낮으면 3시간, 물이 없으면 3일, 식량이 없다면 3주밖에 살지 못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답니다. 사람은 체온이 30℃ 아래로 떨어지면 심장 박동이 불안정해지며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요. 다행히 동굴 내부 온도는 24℃ 정도로, 동굴 내부의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990년대 중후반 북한을 괴롭혔던 심각한 경제난 때문이에요. 경제난으로 예방접종은 물론 식량 배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이 때문에 사람들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세균성 질환에 쉽게 노출됐거든요. 한국에서도 영양상태가 좋지 않았던 1970~1980년대에 결핵 등의 세균성 질환이 유행했어요.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손상돼 이대로 태양열을 계속 받게 되면 우주정거장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내부의 식량이나 물품이 모두 상하고 독성 물질이 방출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결국 다음 날 예정됐던 우주비행사 세 명의 출발도 연기됐다. 결국 우주비행사들은 엔지니어에게 우주정거장 수리 기술을 훈련받은 뒤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멸종되기 전에는 꺼내지 않는다는 점에 차이가 있지요.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으로 식량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럴 때 시드볼트가 큰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 같아서 참 든든했어요. 시드볼트는 국가 중요 기관이기에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는 곳이에요. 그런데 이번 취재에서만 특별히 내부를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방법이다. 우선 생명을 죽이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가축을 기르는 데 들어가는 물과 식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나 투오미스토 핀란드 헬싱키대 농업과학부 교수는 배양육으로 기존 축산업과 같은 양의 고기를 생산할 경우, 토지 사용량이 1%로, 물 사용량이 2%로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를 2010년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전자를 분석해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7억 명으로 증가하고, 부담 없이 빵을 먹기 위해서는 밀 생산량을 지금보다 60% 더 올려야 한다.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밀,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밀, 병충해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