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일본유학일기] 만화로 배운 ‘오타쿠’ 일본어 친구들 힘입어 레벨 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생각한다. 일본에서 실제로 생활하다 보면 독특한 말투로 의사소통하는 경우가 꽤 있어 표준어만 알아들으면 대화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동아리 활동도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나는 도쿄대 테니스부에서 1년 정도 활동을 했다. 테니스부는 코미디 애니메이션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한국 통신망을 쓰고 있으면 한국의 방송만 볼 수 있었거든요. 나중에 이 기술은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아 전세계 휴대 전화에서 쓰이게 됐죠. 이런 결과를 얻고 나니 엔지니어로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이뤘다는 생각이 들었고, 다른 일을 해보고 싶어졌어요.처음에는 치과의사에 도전해볼까 하다가 ... ...
- [한페이지 뉴스]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결과, 관측된 것과 같은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은 일어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표준우주모형이 미처 고려하지 못한 암흑물질의 알려지지 않은 특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다.메네게티 연구원은 “은하단은 우주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연구실과 같다”며 “이번 연구는 암흑물질에 ... ...
- [특집] 클라우드 TECHNOLOGY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사람을 만나지 않는 언택트(비대면)는 이제 새로운 표준이 됐다. 온라인 쇼핑, 원격 수업 등 온라인 시스템은 삶에 깊숙이 들어왔고, 인터넷상의 만남이 보편적인 일이 됐다. 이런 새로운 일상의 기반에는 ‘클라우드’가 있다. 클라우드는 데이터를 대신 보관해주고, 처리해주고, 공유해주며 언택트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대에 맞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연구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다. 한 예로 9월 3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안전, 소재, 반도체, 양자 등 9개 주제로 ‘버추얼 랩(Virtual Lab)’을 꾸렸다. ‘가상 연구실’이라는 뜻을 가진 버추얼 랩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자들이 자료를 공유하고 비대면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바이러스”라며 모임을 줄이고 마스크 쓰기 등 위생 수칙을 일상화하는 삶이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을 예고했다. “인류는 경험과 지식으로 감염병에 맞서”의학사 연구의 권위자인 이 교수는 감염병 역사를 되짚어보며 코로나19를 극복할 실마리를 논의했다. 페스트균이 일으키는 흑사병은 1346~1353년 ...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pone.0119474 미라에서 떼어낸 조직으로 DNA도 분석했다. 미라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참조용 표준 유전체의 DNA와 비교해 질병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미라의 DNA에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가 있었다. 결국 우리 연구팀은 17세기 조선시대 미라가 생전에 죽상동맥경화증을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부평정수장의 활성탄 여과지 운영을 중단하고 표준정수처리 공정으로 전환한 상태다. 표준정수처리 공정은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 오존 처리나 활성탄 여과를 뺀 것이다. 구 교수는 “정수 처리 공정 단계는 지금 수준으로 충분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산화제를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대해 T2T 게놈 지도를 완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 가진 2만여 개 유전자에 대한 표준 게놈 지도를 이용해 질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만 집중적으로 연구해도 충분히 인류의 건강을 이롭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밀한 T2T 게놈 지도도 분명히 필요하다. 가령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천만 생물종의 ... ...
- [이달의 과학사] 바나나가 싼 이유가 이것 때문? 컨테이너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약 37배의 비용을 줄여준 거지요.현재 전 세계 컨테이너의 90%는 길이가 6m나 12m인 ‘국제 표준 컨테이너’입니다. 보통 컨테이너선은 중국, 유럽 등 온대 국가에서 생산된 공산품을 열대 국가로 수출해요. 그런데 열대 국가에는 수출할 제조품이 없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컨테이너선은 바나나를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