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준
척도
규격
규범
본보기
견본
준거
d라이브러리
"
표준
"(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런 다음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떠나 ISS에 도착한 이틀 뒤부터는 다시 그리니치
표준
시에 맞춰 생활했다. 우주로 오는 과정에서 총 2번의 시차 적응이 있었던 셈이다. 그에 반해 프루나리우 박사는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비행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모스크바 시간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는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암흑에너지 등 여러 관측 사실을 근간으로 만들어졌고, 이를 우리는 현대우주론 또는
표준
우주모형이라고 부른다. 중성자의 수명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초기 우주 모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빅뱅 후 생겨난 양성자와 중성자는 이후 중양성자와 헬륨의 핵 등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중성자의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1964년 이론적으로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고 이는 이후
표준
모형과 함께 물리학계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힉스 입자가 실제로 검출된 뒤에야 비로소 노벨상을 손에 쥘 수 있었다. LHC는 둘레만 27km에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큐비트 6개를 제어하는 기술을 시험 중입니다. 또 서울대는 반도체 양자점 방식으로, 한국
표준
과학연구원은 초전도체 방식으로 큐비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큐비트 개발은 ‘양자 전쟁’의 시작일 뿐구글이 양자 우월성을 달성했다는 ‘정황 증거’는 올해 내내 여기저기서 목격됐습니다. 5월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하는 KVN만의 독창적인 관측기법은 향후 국제 전파천문 관측기법의
표준
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년 네 번째 전파망원경 구축KVN은 구축 후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세계적인 전파관측망으로 발돋움했다. KVN을 사용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전 세계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Spectrometer) 개발 전과 후로 나뉩니다. AMS가 개발되기 전에는 붕괴측정법(decay detection)이
표준
기술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붕괴측정법은 방사성동위원소의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측정하는 기법입니다.하지만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의 민감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너무나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레고 브릭의 등장은 엄청난 혁신이었습니다. 특히 2×4
표준
레고 브릭은 레고사의 역작이었죠. 기존에는 없던 형태의 브릭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 브릭만으로 조합해 만들 수 있는 구조물이 무수히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레고사는 1958년에 디자인에 대한 특허를 ... ...
독감 백신은 왜 매년 맞아야 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최종적으로 예측한다.우리나라가 속한 북반구의 경우 계절이 반대인 남반구의
표준
실험실에서 검출된 바이러스를 토대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유행할 바이러스를 선정한다. 올해 겨울 유행할 바이러스는 남반구에서 2018년 6~8월 검출된 바이러스를 근거로 선정하는 식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또 어느 부위에 가장 오랫동안 얼얼함이 남게 될까.중국국립
표준
화연구원(CNIS) 농업
표준
화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케미컬 센시스’ 2017년 7월 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마라 성분인 산쇼올을 섭취하면 농도에 따라 그리고 구강 내 접촉 부위에 따라 강도를 다르게 느낀다. doi: 10.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있다. 미국에 오기 전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장과 함께 한국인의
표준
유전체 ‘AK1’을 새롭게 분석했던 것이 많은 도움이 됐다. 분석 결과는 2016년 ‘네이처’에 실렸는데, 당시 네이처로부터 “현존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중 가장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연구원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