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ㅅㅇ···사라지는 언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90.3%) 4개뿐이었답니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 강계순(71) 씨는 “학창시절 학교에서 모두 표준어로 가르치고, 선생님들도 제주어를 안 쓰려고 노력했다”며, “그래서 지금은 여든 이상의 어른들 중에서도 시골 분들만 제주어를 유창하게 말씀하실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제주어를 지키기 위해 ... ...
-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전까진 공문서에도 한자가 섞여 쓰이는 등 한글만으로 문서를 쓰기 힘들었어요. 하지만 표준 한글 타자기가 보급되면서 한글을 더욱 쉽게 쓰고, 정보를 더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었지요. 만약 한글 타자기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정보를 디지털화 하지 못해 다음 세대에 남기기 어려웠을 거예요 ...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모지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그림 문자예요. 컴퓨터에서 쓰이는 표준 언어 코드인 ‘유니코드’에 입력되어 있어 여러 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요. 이모지는 일본의 디자이너 구리타 시게타카 덕분에 세상에 널리 퍼졌어요. 일본의 통신 회사 NTT 도코모에서 일하던 ... ...
-
-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전 세계의 문자를 모든 컴퓨터에서 동일하게 입력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든 국제 표준 문자 코드예요. 컴퓨터는 정보를 0과 1의 숫자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람이 쓰는 문자를 인식할 수 없어요. 그래서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할 때는 문자마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코드를 사용하지요. 아스키 ...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만 도의 열(아크) 플라스마가 있다. 저온 플라스마는 압력이 수백 Torr(토르·1Torr는 표준대기압의 760분의 1)로 낮은 상태에서 생성돼 반도체나 형광등 제조에 쓰인다. 반면 열 플라스마는 대기압에서 발생시킬 수 있어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물질 소각, 입자 제조 등에 쓰인다.반도체 공정에서는 ...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영하 50도 이하에서 예비동결한 뒤 저온 상태가 유지되는 삼중점인 4.58Torr(토르·1Torr는 표준대기압의 760분의 1) 이하의 진공 챔버에 넣어서 얼음이 기체로 승화되도록 한다. 열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영양소의 파괴나 맛의 변화, 외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얼음이 기체로 증발하면서 원래 얼음이 ...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기반 암호, 다항식 기반 암호, 해쉬 기반 암호, 타원곡선 기반 암호 등이지.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에서는 RSA 암호보다 더 강력한 암호를 찾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더 강력한 암호를 ‘공개수배’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암호 연구자로부터 새로운 암호 체계를 지원받은 뒤 3라운드에 걸쳐 ... ...
-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빠른 전기신호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런데 최근 KAIST, 영국 국가표준기관인 국립물리연구소(NPL) 등 공동연구팀이 수 ps(피코초·1ps는 1조분의 1초) 주기로 움직이는 전자의 초고속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나노 셔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1월 ...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음을 고르라는 국어 영역부터 영어, 역사, 지리, 상식까지 분야가 다양했다(떡볶이의 표준 발음은 [떡뽀끼]다). 그래, 실기 10문제에 집중하자. 떡볶이를 눈으로 관찰하고 입으로 맛볼 수 있는 만큼 어느 정도 승산이 있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단서인 떡에 집중했다. 특히 밀떡인지, 쌀떡인지 떡의 ...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1964년 이론적으로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고 이는 이후 표준모형과 함께 물리학계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힉스 입자가 실제로 검출된 뒤에야 비로소 노벨상을 손에 쥘 수 있었다. LHC는 둘레만 27km에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