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읽고 나서 자네에게 이 말을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네. 덴마크어판에 발췌돼 있는, 자네가
저자
에게 보낸 편지를 보니, 자네 기억이 자네 자신을 얼마나 속이고 있는지 놀라울 지경이군. (중략) 나 역시 연구소(보어가 소장으로 있던 코펜하겐 이론물리연구소) 내 방에서 있었던 우리의 대화를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교신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김동하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
저자
전리나 연구원 - 이화여대 제공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조명장치로 ‘발광다이오드(LED)’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각종 조명장치는 물론 TV나 모니터 같은 ... ...
“나노물질이 퇴행성 뇌질환 일으킬 수 있어”
2016.07.14
이광 아주대 교수(왼쪽)와 제1
저자
인 신태환 연구원. - 아주대 의대 제공 나노물질은 최근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됐다. 크기가 작은 만큼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표면적이 넓어 의약품, 화장품에 널리 쓰인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초미세먼지 또한 나노물질의 일종이다. ... ...
사람과 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한 염소
2016.07.13
후 뇌의 변화의 결과로 나타난 것처럼 말이지요. jcfrog(W) 제공 또한 이 논문의 주요
저자
인 알란 맥엘리어트 박사는 “염소는 일반적인 평가보다 훨씬 똑똑하다는 것을 이전부터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이미 알고 있었다”고 밝히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염소들이 가축으로 길들여지지 않은 ... ...
페르미를 사랑하는 한 물리학자의 에세이
2016.07.10
여러 과학자들의 이야기의 행방은 결국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귀결한다.
저자
는 “이번 책을 통해 물리학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싶었지만, 내가 페르미가 아니라는 것만 확인했다”라며 겸손하게 자평한다. 그의 평가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보이는지는 직접 책장을 넘기며 ... ...
“16년 만에 ‘3차원 그래핀’ 세계 첫 합성”
2016.06.30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KAIST 화학과 특훈교수·왼쪽)과 논문의 제1
저자
인 김경수 IBS 연구위원. - 대전=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16년 동안 끈질기게 연구한 끝에 드디어 이론과 상상으로만 존재하던 ‘3차원 그래핀’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28일 대전 유성구 ... ...
엄마 곰이 사람 사는 곳까지 내려온 슬픈 이유
2016.06.28
인가에서 1,210m 떨어진 곳에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공동
저자
인 노르웨이생명과학대학교의 샘 스테야르트는 “번식기가 지나고 나면 새끼와 함께 어미 불곰은 그들의 생활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혔는데요. 바로 지정된 시기에 곰 사냥을 하는 사람들을 피해 다시 깊은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이보다 드문 백홍(白虹)은 태양의 활동이 예외적으로 강할 때 관측되는 현상일 것으로
저자
들은 추측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같은 지역이고 천문기록 문화를 공유한 한국과 일본의 문헌도 면밀히 검토해본다면 당나라 때 오로라 관측 기록과 일치하는 기록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 ...
[책의 향기/150자 서평]라이프니츠, 뉴턴 그리고 시간의 발명 外
동아일보
l
2016.06.25
인식 비판 뇌, 인간의 지도(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추수밭)=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인
저자
가 뇌와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하고 과장된 논의를 비판한다. 좌뇌형 우뇌형 인간 담론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좌뇌와 우뇌가 어떻게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도 협력하는지를 설명한다. 2만5000원.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배제된 건 아니다. 더 많은 발굴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번 두 편의 논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이 오른 마이크 모우드 교수는 2013년 63세에 암으로 사망했다. 호빗 두개골을 지켜보는 포즈를 취한 모우드 교수. - 울런공대학 제공 ● 호빗의 연대추정 오류 밝혀져 이보다 앞서 ‘네이처’ 4월 2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