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동물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유전체 비밀 풀었다2016.10.20
- 과학자가 참여했다. 국내에선 권태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논문 1저자 3명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인간과 유전체가 비슷한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는 오래전부터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 등을 연구하는 데 쓰였다. 체외 수정을 하는 만큼 한 번에 수백 개씩 수정란을 얻을 수 있고,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 과거와 현재, 미래’에는 1966년 논문의 저자인 해치와 슬랙도 참석해 했다고 한다. 80대에 접어든 두 사람은 후배들의 발표를 열정적으로 경청하며 그 순간을 마음껏 즐겼다고 한다.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 원로과학자가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었으면 ... ...
- 지극히 개인적인, 과학적 합리성의 3가지 요소2016.10.15
- 당연히 정치적인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논문은 편향된 연구가 아닙니다. 저자들은 자신들이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해서 어떻게 분석을 했고 그래서 결과를 어떻게 해석했는지에 대해서 투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자신들의 연구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더불어 한계에 대해서도 명확히 ... ...
- 2014년 한국 조류인플루엔자 세계 확산 주범은 ‘야생 철새’2016.10.14
- 내려갔다. 즉 야생 새들의 이동 경로는 한국발 AI의 전파 경로와 대부분 일치했다. 논문 저자인 영국 에든버러대 로즐린연구소 서맨사 라이셋 연구원은 “야생 새들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AI의 유행을 조기에 경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받는 것보다 주는 기쁨, 친절을 베풀면 행복해진다2016.10.12
- 관계를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의 주요 저자이자 옥스포드대학교의 인지 및 진화 인류학 연구소의 올리버 스캇 커리 박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GIB 제공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모두 가족, 친구, 동료, 이웃, 심지어 낯선 사람들까지 ... ...
-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10.11
- 주는 일을 선택했지만, 대마초를 피운 사람들은 약 42%만이 그 일을 택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UCL 임상정신약리학과 발 커랜 교수는 “대마초를 피운 사람들은 노력이 많이 필요한 일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대마초가 사람의 동기나 관심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 ...
- 노벨상 수상자의 ‘인맥’엔 특별한 것이 있다2016.10.07
- 01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 자유대 명예교수와 비교한 결과 공저자 수 면에서는 오히려 앞섰으나 가중페이지랭크 지수는 절반에 불과했다. 이 분석은 소수의 국내 과학자와 노벨상 수상자의 인적 네트워크를 비교했기 때문에 해당 분야 전체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 ...
-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01
- ❸ 각자 잘하는 특정 부분만 담당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❹ 논문 저자는 ‘폴리매스 프로젝트’로 나오지만, 홈페이지에서 누가 얼마나 기여했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어 이름 없는 수학자도 쉽게 유명해질 수 있다. ● 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 2009년 1월, 필즈상 ... ...
- [연구자율성 높이자] 노벨상 수상자 104명 연구비 최초 분석과학동아 l2016.09.29
- 확인하면 연구비 지원 여부와 특징을 알 수 있다. 아무런 연구비 정보가 없는 논문은 저자에게 직접 연락해 출처를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총 104명의 논문 142편에 대해 연구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정보를 분류한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비도 중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2016.09.26
- 수렵인? 필자가 이 책의 많은 부분을 공감하면서도 거부감을 갖는 이유는 저자의 주장이 너무 완고해 때로는 사실도 서슴없이 왜곡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앞에 언급한 구석기시대 식단도 출처가 어디인지 몰라도 엉터리다. 1만 년 전 농사가 시작되면서 인류의 식단이 곡물(주로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